개화기까지 하회탈은 마을 동사(洞舍)에 보관되어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이 동사가 불에 타서 이제는 그 터만 남고 동사는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그러나 동사에 보관했던 하회탈은 지금껏 무사하다. 그 때는 하회탈이 국보로 지정되기 이전이었다. 국가에서 하회탈에 대한 아무런 가치 부여도 하지 않은 상태였으나 동사가 불길에 휩싸이자 ‘탈을 태워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누군가 동사로...
허도령은 꿈속에서, 탈을 만들어 탈춤을 추면 마을이 평안해질 것이라는 신의 계시를 받고 간절한 마음으로 12개의 하회탈을 깎았다.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하회탈은 이렇게 허도령 전설과 함께 전해 오고 있다. 초월적인 힘에 기대어 탈을 깎아야 하는 시대는 지났지만 마을을 지키며 하회탈을 깎는 사람이 있다. 바로 하회동탈박물관장이자 하회탈을 깎는 공예가 김동표 씨가 그런...
혈연이나 가문의 지체와 상관없이 하회마을 사람들을 평등하게 하나로 묶어주는 구실을 하는 것으로 동제 또는 당제를 주목할 수 있다. 하회마을은 다른 마을에 비하여 동신을 모시는 당(堂)이 다섯 개나 된다. 그 중 세 개의 당은 서낭당과 국사당·삼신당이며, 각각 상당·중당·하당으로 불리기도 한다. 두 곳의 서낭당은 상당으로도 불리는 서낭당이나 국사당과는 달리 화산의 지맥을 따라 형성된...
허도령 전설과 하회 별신굿 탈놀이, 서낭신을 위한 동제 등은 모두 서낭신과 관련해서 만들어진 하회마을만의 독특한 문화이다. 달리 말하면 하회마을에서는 지금도 서낭신과 관련한 전설과 민속신앙이 풍부하게 전해져 내려오는 셈이다. 서낭신과 관련하여 형성된 문화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하회마을 사람들은 서낭신만을 모시고 있다고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하회마을 사람들은 서낭당과 함께 국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