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949
한자 安東竹軒古宅
영어공식명칭 Jukheon Old house
영어음역 Jukheon Gotaek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39[태장죽헌길 24]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12월 30일연표보기 - 안동 죽헌고택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4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10월 22일연표보기 - 안동 죽헌고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4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안동 죽헌고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성격 고가
양식 홑처마 맞배지붕
건립시기/일시 1886년(고종 23)연표보기
정면칸수 5칸|2.5칸(방앗간)
측면칸수 4칸|1칸(방앗간)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39[태장죽헌길 24]지도보기
소유자 이병하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전통 가옥.

[개설]

안동 죽헌고택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독립운동가인 김가진(金嘉鎭, 1846~1922)의 가옥으로, 후에 참봉 죽헌(竹軒) 이현찬(李鉉贊)이 기거하였다. 김가진의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동농(東農)이다. 공조판서·농상공부대신(農商工部大臣)을 지내고 상해 임시 정부 요인으로 활약하였다. 이현찬의 본관은 진성(眞城), 호는 죽헌(竹軒)이다.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39번지[태장죽헌길 24]에 있는데, 봉정사(鳳停寺) 앞마을에 위치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내에서 서후면 태장리로 가는 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경상북도 영주 방면의 국도 5호선을 따라서 8㎞ 정도 가면 경상북도 서후면 저전리가 나오며 봉정사를 가리키는 표지판이 나타나는데 왼편으로 진입하면 봉정사로 갈 수 있다.

또 하나는 경상북도 안동시 내에서 경상북도 예천 방면의 국도 34호선을 타고 송야 사거리에서 서후면으로 들어가는 길을 따라 서후면 소재지인 성곡리를 거쳐 작은 재를 넘으면 봉정사로 갈 수 있다. 봉정사 주차장에서 남쪽으로 난 농로를 따라 80m 정도 가면 작은 마을이 나오고, 마을 첫머리에 넓은 담장을 두른 고택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안동 죽헌고택이다.

두 개의 길은 모두 안동시내에서 거리가 비슷하며 나름대로의 멋을 지니고 있다. 경상북도 영주 방면의 길로 가면 안동 이천동 석불상을 감상할 수 있으며, 또 안동김씨 시조인 김태사 신도비 등 여러 문화 유적을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경상북도 예천 방면의 길로 가면 의성김씨 학봉 종택이나 안동장씨 칠계재 종택, 광풍정(光風亭) 등의 문화 유적을 감상할 수 있다. 모두 아름다운 풍경과 문화 유적을 감상할 수 있는 길로서 어느 길을 선택하든지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문화를 맛볼 수 있다.

[변천]

안동 죽헌고택은 1886년(고종 23) 김가진이 건립하였으며, 1890년(고종 27) 참봉 죽헌 이현찬이 인수하였다. 1989년 보수하였다.

[형태]

맞배지붕을 연속적으로 이어서 가옥 전체의 평면이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정면 5칸, 측면 4칸의 3량가(三樑架)의 납도리집이다. 가옥은 전체가 담장으로 둘러져 있으며 남향을 한 평대문이 있다. 대문에 들어서면 넓은 마당이 나오고 마당 정면에 중문이 보인다. 중문을 중심으로 하여 좌편에 사랑방과 사랑마루방이 딸린 사랑채가 있고, 오른편에는 아랫방으로 사용하는 1칸인 온돌방이 있다. 사랑방은 2칸통을 사용하고 있으며 사랑마루방은 1칸이다.

사랑방과 사랑마루방 사이에 사분합문을 설치하여 서로 출입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사랑마루방의 바닥은 우물마루이며 천장은 연등천장(椽燈天障)이다. 사랑채 앞에는 쪽마루를 설치하였는데 사랑마루방 앞의 쪽마루는 1단 정도 낮게 하였다. 사랑채와 중문간·아랫방은 ‘ㅡ’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높이 50㎝ 정도의 막돌 허튼층쌓기 기단이 이를 받치고 있다. 위에는 자연석 주초를 놓고 사각기둥을 세웠다.

중문으로 들어가면 아담한 안마당이 나오고 정면에 1칸인 마루가 있다. 마루의 오른편은 1칸인 상방이고 상방과 면하고 있는 우익사(右翼舍)는 광 1칸, 헛간 1칸의 순으로 배치하였다. 우익사의 광은 바닥을 마루로 하였으며, 헛간은 벽과 문을 설치하지 않고 완전히 개방한 형태이나 옆 마당으로 통하는 곳에는 판벽(板壁)으로 처리하고 판문을 달았다. 헛간은 2층 구조로 상부에 다락을 설치하였다.

상방과 마루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방은 안방으로 2칸통을 사용하고 있다. 안방 옆은 부엌인데, 부엌은 좌익사(左翼舍)와 직각으로 있으면서 1.5칸통을 사용하며 반 칸은 뒤주로 사용한다. 부엌 옆은 1칸인 온돌방으로 사랑마루방과 서로 출입할 수 있다. 뒤주는 양 기둥에 홈을 파서 널판을 넣었다가 뺐다 하는 식으로 문을 달았다. 부엌은 안마당과 면한 부분에는 벽과 문을 내지 않고 밖의 옆 마당 부분에 판문을 달았다.

안동 죽헌고택의 부속 건물로는 방앗간 1동이 있다. 방앗간은 본채 오른편에 있으며 정면 2.5칸, 측면 1칸의 크기로 초가지붕을 하고 있다. 2칸의 방앗간과 반 칸의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장실은 문 대신 벽을 설치하여 안이 보이지 않게 하였다. 방앗간은 2칸통을 사용하며 디딜방아를 설치하였다.

[현황]

1985년 12월 30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4호로 지정되었다. 2012년 10월 22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4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소유자 및 관리자는 이병하이다. 재사(齋舍)로 활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안동 죽헌고택은 전형적인 조선 후기‘ㅁ’자형 민가의 특징을 보이는 건물이다. 산중에서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돌을 높이 쌓아 담을 만들어 내부를 격리시킨 점이 특이하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03.05 [현황] 수정 <변경 전>1985년 12월 3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4호로 지정되었다 <변경 후>1985년 12월 30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4호로 지정되었다
이용자 의견
권** 문화재 지정번호가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46호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확인후 수정 부탁드립니다.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3.0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