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태화동 고분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533
한자 太華洞古墳群
영어음역 Taehwadong Gobungun
영어의미역 Ancient Tombs in Taehwa-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임세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분군
양식 구덩식 돌덧널무덤
건립시기/연도 5세기 전반~6세기 중반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개설]

태화동 고분군의 조성 시기는 돌덧널의 구조와 유물을 주변 지역과 비교·검토할 때 5세기 전반에서 6세기 중반 사이에 조성되었다고 여겨진다. 능선 정상부의 3호분이나 4호분은 뚜껑돌[개석]을 사용한 점과 돌덧널 축조 방식에서 주변의 유구들과는 구별되며 주변보다 약간 늦은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 당시 고분들은 봉토가 남아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섞여 있었다. 봉토가 있는 것은 대부분 봉토처럼 봉긋하게 솟아오른 자연 지형이나 작은 산봉을 봉토로 이용하였다. 대부분은 산봉의 정상부를 피하여 남쪽 비탈진 곳을 깎아 돌덧널을 설치하였고, 대형 분의 경우 산봉을 봉토처럼 둥글게 깎아 내고 그 정상부에 돌덧널을 설치한 것도 있다.

태화동 고분군의 주인은 9호분에서 출토된 금동 태환 귀고리나 7호분의 금동제 화살 통 장식과 고리긴칼[환두 대도] 등으로 미루어 삼국시대 안동 지역의 최상층 지배 집단으로 여겨진다. 특히 7호분에서 출토된 토기류들은 경주·대구 등지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함을 보이고, 또 부산 복천동과 고령 지산동의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같은 유형의 금동 화살 통 장식으로 보아 경주 쪽의 고신라계 문화와 낙동강을 따라 올라오는 가야계의 문화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치]

안동시 중심의 서쪽 태화봉 야산 지대로 해발 170m 안팎 능선들이 남북으로 길게 이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 안동 시내가 내려다보이고 서쪽으로 멀리 안동 지역에서 가장 높은 학가산이 보인다. 동쪽에서 흘러오는 낙동강이 굽어보인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1995년 ‘안동 태화·옥동 지구 택지 개발 사업’이 시행되면서 안동대학교 박물관에서 사전 조사의 필요성을 안동시에 알리고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지표 조사 도중 개발 지역에 있는 대부분의 고분이 개발 사업자 측에 의해서 고의적으로 파괴되었다.

1996년 안동시에서 같은 개발 지역 내의 상수도 확장 사업을 계획하면서 예정 지역에 태화동 고분군의 일부가 포함되자 안동시에서 안동대학교 박물관에 발굴 조사를 의뢰하였다. 1996년 8월 26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서 12기의 구덩식 돌덧널무덤에서 200여 점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고, 일부 고분에서는 금동제 화살 통 장식, 고리긴칼 등 당시 최고 권력층의 것으로 보이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형태]

모두 구덩식 돌덧널무덤이며 봉토는 능선의 산봉으로 남은 곳을 제외하고 모두 남아 있지 않다. 봉토가 남아 있는 고분은 3호분과 5호분이 대표적이다. 3호분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태화봉 정상의 봉우리를 원형의 봉분 모양으로 둘레를 정리하고 정상부를 평면으로 만든 다음 돌덧널을 설치하고 봉토를 덮었다. 봉토는 연황색 사질 점토와 연갈색 사질토를 이용하여 판축하였고, 발굴 당시 정상부는 약 200㎝, 경사부는 120~150㎝ 정도 남아 있었다.

돌덧널이 있는 곳은 봉우리 정상이지만 봉우리 전체를 봉분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돌덧널의 규모에 비하여 봉분이 웅장하게 보인다. 이처럼 자연적인 봉우리의 정상이나 비탈면에 돌덧널을 축조하여 외형상 웅장하게 보이도록 한 것은 2호분·5호분·8호분 등에서도 볼 수 있다.

봉우리를 봉분처럼 둥글게 깎으면서 봉우리 표면은 대체로 5단의 계단식으로 다듬고, 이 위에 다시 봉토를 쌓았다. 표면을 계단식으로 깎은 것은 봉토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봉토의 밑면 둘레에는 둘레돌을 원형으로 둘러 봉토의 흘러내림을 막았다.

돌덧널은 대부분 부정형 할석으로 벽석을 쌓고 바닥에는 작은 강자갈을 깔았다. 돌덧널의 방향은 능선에 있는 것은 능선 축과 일치하고, 비탈면에 있는 것은 능선 축과 직교하는데 이는 삼국시대 고분의 공통점이다. 돌덧널의 크기는 작은 것이 길이 215㎝, 폭 120㎝, 높이 50㎝ 정도이고, 큰 것은 길이 474㎝, 폭 110㎝, 높이 80㎝이나 전체적으로 길이 300㎝ 안팎의 것이 많다.

뚜껑돌은 3호분의 경우 일부가 남아 있지만 대부분은 흔적이 없다. 도굴되었거나 봉토가 벗겨진 뒤 노출된 뚜껑돌을 주민들이 석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가져갔을 가능성도 있지만 원래 없는 고분이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무개석식은 안동 지역의 다른 고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출토유물]

출토 유물은 굽다리 접시, 긴 목 항아리, 짧은 목 항아리, 높은 굽 긴 목 항아리, 허리띠 장식, 금동제 귀고리, 철제 손칼, 구슬류, 철제 마구류 등이 대부분으로 3호분과 7호분에서 특히 많이 출토되었다. 1호분에서 긴 목 항아리 3점, 짧은 목 항아리 1점, 굽다리 접시 5점, 굽다리 접시 뚜껑 1점, 뚜껑 접시 1점, 연질 작은 항아리 1점, 유리구슬 4점, 철제 허리띠 장식 2점, 철제 손칼 1점, 금동 귀고리 1점이 출토되었다.

2호분에서 유리구슬 10점, 3호분에서 긴 목 항아리 1점, 손잡이 잔 2점, 굽다리 접시 뚜껑 1접, 굽다리 접시 3점, 뚜껑 접시 1점, 철제 창 1점, 철제 화살촉 10점, 철제 허리띠 장식 1점, 말 재갈 1점, 철제 낫 1점, 철제 도끼 1점, 금동 귀고리 2점, 유리구슬 4점, 구멍 뚫린 토제품 7점이 출토되었다.

4호분에서 짧은 목 항아리 1점, 긴 목 항아리 2점, 굽 붙은 잔 1점, 굽다리 접시 뚜껑 2점, 굽다리 접시 9점, 뚜껑 접시 2점, 연질 완 1점, 작은 단지 1점, 철제 창 1점, 유구석부 1점(외부에서 유입된 것)이 출토되었고, 5호분에서 금동 귀고리 2점이 출토되었다. 6호분 주변에서 굽다리 접시 4점, 긴 목 항아리 1점을 수습하였다.

7호분에서 짧은 목 항아리 4점, 긴 목 항아리 1점, 굽 붙은 긴 목 항아리 3점, 손잡이 붙은 잔 3점, 굽 붙은 완 2점, 그릇 받침 1점, 굽다리 접시 뚜껑 18점, 굽다리 접시 20점, 섬유 조각 1점, 철제 창 2점, 철제 화살촉 2점, 철제 손칼 3점, 고리긴칼 1점, 긴칼 1점, 화살 통 장식 1점이 출토되었다.

이 밖에 등자 1쌍, 안교 1점, 말 재갈 1점, 재갈 고삐 이음대 1점, 금동 행엽 7점, 철제 행엽 1점, 허리띠 장식 5점, 금동 허리띠 장식 1점, 금동 운주 장식 2점, 심엽형 장신구 3점, 원형 철판 1점, 철제 고리 1점, 백동제 장식 붙은 허리띠 장식 1점, 철제 띠 1점, 철제 도끼 3점, 금동 귀고리 2점, 구슬 26점이 출토되었다.

8호분에서 긴 목 항아리 1점, 편평 밑 항아리 1점, 손잡이 붙은 완 1점, 재갈 1점, 철제 고리 1쌍, 철제 창 1점, 금동 귀고리 1점이 출토되었고, 9호분에서 금동제 굵은 귀고리 1점, 10호분에서 굽 달린 긴 목 항아리 1점, 편평 밑 항아리 1점, 손잡이 붙은 완 1점이 출토되었다. 11호분에서 긴 목 항아리 2점, 청색 유리구슬 7점, 12호분에서 손잡이 붙은 완 1점, 손잡이 둘 붙은 완 1점, 연질 단지 2점, 굽다리 접시 1점, 완 1점, 13호분에서 긴 목 항아리 2점, 손잡이 둘 붙은 완 1점, 철제 손칼 1점이 출토되었다.

[현황]

고분군이 있던 태화봉을 포함한 능선 일대가 택지로 개발되어 현재 유적은 폐기되고 없다.

[의의와 평가]

현재 안동시가 자리 잡고 있는 지역은 동·서·남 세 방향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전탑이 우뚝 서 있고, 시가지 뒤편으로 조선시대까지 성곽이 있던, 안동 지역의 행정과 문화의 중심지였다. 태화동 고분군은 안동 시가지와 인접한 서쪽 능선에 자리 잡고 있어 주인공들이 안동 지역을 지배한 최고 지위를 누리던 사람들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분에서 출토된 많은 금동제 유물과 특히 가야 계통의 고분에서만 소수 출토되던 금동제 화살 통 장식이나 금동제 굵은 귀고리 장식, 다양한 금동제 및 철제 마구류 등이 이 지역 지배 계층의 지위와 정치적·문화적 수준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