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424
한자 佛敎
영어공식명칭 Buddhism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교빈

[정의]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실천해 온 역사적 흐름과 관련 유적.

[개설]

충청남도 아산은 삼한시기 마한염로국(冉路國)에 속했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탕정군[온양 지역], 아술현[아산 지역], 굴직현[신창 지역]에 속하였으며, 고구려 장수왕 때 고구려에 속하였고, 백제가 망하면서 신라에 복속되었다. 따라서 384년(침류왕 1) 중국 동진의 마라난타가 전한 백제 불교 위에 신라 불교가 자리 잡았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이와 관련한 자료는 없다. 신라 말부터 오늘날까지 사찰을 중심으로 불교가 활발히 전개되었고, 그에 따른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사찰]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은 신라시대로 추정되는 봉곡사(鳳谷寺), 용담사(龍潭寺), 관음사(觀音寺) 등이다. 봉곡사송악면 유곡리에 있으며, 887년(신라 진성여왕 1) 도선국사가 창건하였고, 1150년(고려 의종 4) 보조국사가 중창하면서 ‘석가암(釋迦庵)’ 또는 ‘석암(石庵)’이라고 불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석암사(石庵寺)’로 기록되어 있고,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 ‘봉곡사’로 바뀐 기록이 있다. 조선 후기에는 정약용이 문인들과 함께 봉곡사에서 이익의 문집 발간을 위한 강학회를 열었고, 현대에 이르러 만공 스님이 깨달음을 얻은 도량임을 기려 만공탑이 세워졌다. 절이 소장하던 불화(佛畵) 「관음도」, 「신중도(神衆圖)」,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가 모두 없어졌으나, 그 가운데 「신중도」가 일본으로 간 것이 확인되어 일본 정부에 반환을 요청한 상태이다. 용담사송악면 평촌리에 있는 태고종 사찰로서 신라 애장왕 때 창건되었다고 하지만,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며, 고려 광종 때 혜명이 중창하였다고 한다. 오랫동안 버려졌던 것을 1929년 중창하였는데, 보물 제536호로 지정된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이 유명하다. 관음사영인면 아산리에 있으며, 창건 당시 이름은 ‘동림사(桐林寺)’였는데, 조선시대까지 이어지다 폐사된 터에 1942년 법당을 중창하면서 ‘관음사’로 바꾸었다. 현존하는 유물로는 대웅전 앞에 2층의 기단과 3층의 탑신으로 구성된 석탑이 있고, 대좌와 불신과 광배가 모두 한 돌에 조각된 관음사 석조여래입상이 있는데, 돌을 다듬은 방식이 고려 시기 작품임을 알려 준다.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에는 많은 사찰이 건립되었다. 세심사(洗心寺)염치읍 산양리 영인산에 있으며, 본래 이름은 ‘신심사(神心寺)’였다. 645년(선덕여왕 14) 자장율사가 건립하였다고 하지만, 고려 초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내에는 고려 때 유행하던 청석으로 만든 9층 석탑이 있고, 1563년(명종 18)에 판각된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 목판이 보관되어 있으며, 18세기 말 충청 지역 화풍을 잘 보여 주는 「신중도」가 있다. 인취사(仁萃寺)신창면 읍내리에 있으며, 경내에 3층 석탑 2기와 극락전이 있고, 7월 전후 열리는 연꽃 축제로 유명하다. 송암사(松岩寺)송악면 외암리에 있는 선학원 소속 사찰이다. 경내에 손이 작고 하반신은 생략되어 있는 석가여래입상이 있다. 용화사(龍華寺)송악면 외암리에 있으며, 경내에 고려 전기로 추정되는 아산 용화사 석조여래입상이 있다. 오봉암(五峰庵)[현 오봉사]은 장존동 설화산(雪華山) 기슭에 자리한 사찰로, 사찰 주변에서 발굴되는 기와 조각은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웅전 앞 3층 석탑은 고려시대 양식으로 보인다.

유학이 숭상되던 조선에서는 사찰 건립이 별로 없었다. 그 가운데 송악면 강당골에 있는 강당사(講堂寺)는 영조 때 문신 외암 이간(李柬)이 활동하던 서원이었는데,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을 피하기 위해 마곡사에서 불상을 모셔와 사찰로 바꾸었다. 이런 까닭에 이간의 문집인 『외암유고』를 새긴 목판이 장판각에 보관되어 있다. 그 밖에 고려시대 창건하여 폐사지나 다름없이 방치되었다가 1996년에 복원된 동심사가 영인산에 있고, 영인면의 동림사지(桐林寺址)와 염치읍의 수암사지 등 많은 절터가 남아 있다.

[불상과 탑]

충청남도 아산시에는 불교 유물이 많이 전한다. 그 가운데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보물 제536호]과 영인석불,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보물 제537호] 등은 고려시대 유물로 추정된다. 아산 평촌리 약사여래입상송악면 평촌리에 있는 화강암 소재의 대표적인 장륙불상(丈六佛像)으로 상체가 짧고 하체가 길어 불균형한 모습이나, 얼굴이나 좌우 대칭의 옷 주름이 돋보인다. 영인석불영인면 아산리에 있으며, 청일전쟁 때 목이 절단된 채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45년에 보수한 것이다. 그 외에도 송악면 외암리에 있는 송암사 석조보살입상영인면 신봉리에 있는 고려시대 추정 유물 용화사 미륵불 등도 있다.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는 화강암 유물로, 받침 부분이 땅속에 묻힌 채 기둥만 드러나 있지만, 전체적으로 세련미가 돋보인다. 그 밖에 고려시대 유물로 추정되는 아산 회룡리 삼층석탑아산 윤정사(允禎寺) 오층석탑과 아산 지역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고려시대 유물 영인오층석탑 등이 있다.

조선시대 유물도 여러 곳에 있다. 온천리 석불신창면에 파손된 채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 온천동 온양관광호텔에 다시 세운 것이다. 영인신현리미륵불은 넓고 판판한 화강암에 조각되어 있는데, 갓 모양의 관을 쓴 승려의 모습으로 보아 미륵정토를 기원한 민간 신앙의 표현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도 신창면 읍내리인취사에 있는 고려시대 유물 인취사석탑영인면 아산리에 있는 관음사의 관음사 삼층석탑 등도 있다.

오늘날도 아산 지역 불교는 사찰을 중심으로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보문사, 수암사, 봉국사, 대윤사 등 90여 개 사찰에 외지인을 포함하여 5만여 명의 신도가 있으며,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구니[여자 승려]들의 활동이 활발해서 비구니가 절반 정도 사찰의 주지를 맡고 있다. 조계종과 선학원 소속 사찰이 23개일 정도로 여러 종단이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불교 전파만이 아니라 ‘효’ 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