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414
한자 獨立運動
영어공식명칭 Independence Movement in Asa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기승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894년 - 충청남도 아산 지역 동학 농민군 동학농민혁명 참여
종결 시기/일시 1938년 - 충청남도 아산 지역 천도교인 멸왜기도운동으로 일제에 의해 검거
성격 독립운동
관련 인물/단체 김경삼|안교선|방화용|박인호|이세영|곽한일|성재한|강태건|민종식|이순신|성우영|성달영|성문영|윤치호|이한용|김재풍|강석주|정우풍|조재하|이덕재|김성묵|신태응|이종대|강정균|현창규|김복희|한연순|이덕균|박민성|정수길|서몽조|임천근|오상근|최병수|박용하|이범석|이규풍|이민호|유기영|윤대영|이선준|임형선|윤치호|대한광복회|소작인상조회|민립대학기성회 아산지방부|재만동포옹호동맹|형평사 분사|형평사 온천지부|형평청년전위동맹|아산농민조합

[정의]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일제의 식민 지배 체제에 저항하면서 민족의 독립을 추구하기 위해 벌인 운동.

[개설]

청일전쟁에서 시작된 아산 지역의 항일 기운은 을미사변과 을사조약을 거치면서 항일 의병 활동으로 발전하였고, 1905년 이후에는 교육구국운동이 전개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1910년대 대한광복회에 의한 친일 도고면장 처단 의거가 일어났으며, 1919년에는 아산의 전 지역에서 3·1운동이 전개되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농민운동, 형평운동(衡平運動)과 같은 대중운동이 전개되었다.

[역사적 배경]

청일전쟁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던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1894년(고종 31) 신창의 김경삼(金敬三), 아산의 안교선(安敎善), 온양의 방화용(方化鏞) 등이 동학 농민군을 이끌고 충청남도 서북부의 박인호(朴寅浩)가 이끄는 덕포(德包)[동학 교단 조직]에 가담하여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다.1895년(고종 32) 을미사변을 계기로 아산에서도 항일 의병 활동에 참여하였다.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12대손 이세영(李世永)은 1895년 12월 홍주 의진(洪州義陣)에 가담하여 선봉장이 되었다. 1896년(고종 33) 2월에는 경기 의병과 충청 의병이 아산에서 전투를 벌이기도 하였다.

1905년 이후 아산의 중기 의병은 곽한일(郭漢一)과 이세영이 중심이 되었다. 1906년 2월 최익현(崔益鉉)의 명령을 받은 곽한일은 400명 규모의 의병진을 구성하여 예산에서 거병한 후, 5월 말 홍주성으로 가서 홍주 의진에 합류하여 돌격장을 맡았다. 또한 이세영과 성재한(成載翰) 등은 3월 예산의 광시에서 600여 명 규모의 의병진을 구성하고 민종식(閔宗植)을 의병장으로 추대하였다. 이 부대는 청양에서 관군의 공격으로 해산하였다가 재기하여 5월 홍주성을 점령하였다. 민종식이 이끄는 5월의 홍주 의병진에는 곽한일, 이세영, 성재한 등이 이끄는 아산 의병진이 참여하였다. 이세영은 중군장, 곽한일은 돌격장, 성재한은 운량관(運糧官)을 각각 맡았다. 5월 말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성재한은 순국하고 이세영은 체포되었으며, 살아남은 곽한일은 10월 예산의 이남규(李南珪) 등과 의병 재기를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중기의 홍주 의진에 참여했던 아산 출신 인물로는 강태건, 성우영, 성달영(成達永), 성문영(成文永) 등도 확인된다.

1907년 이후 아산의 의병들은 아산에서 실질적인 전투를 다양하게 전개하였다. 아산 의병은 1907년 9월과 11월, 신창과 아산의 경찰 분파소를 각각 습격하였다. 1908년 3월 아산과 신창, 5월 신창, 7월 온양, 10월 온양과 아산에서 4차례, 11월 2차례, 1909년 1월, 2월, 8월, 9월, 10월에도 의병 활동이 확인된다. 아산의 의병 활동은 1907년 7월부터 1909년 10월까지 계속되었는데, 소규모의 야간 기습 공격이 주를 이루었으며, 아산만을 끼고 있어 해상 의병이 활발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1905년 이후 아산에서 신식 학교가 설립되면서 구국 계몽운동이 확산되었다. 1905년 공세리성당 내에 조성보통학교를 시작으로 1906년 보성학교[둔포, 온양], 일신학교[아산], 1908년 온양공립보통학교[지금의 온양초등학교], 신민학교[신창] 등이 차례로 설립되었으며, 시기 미상이나 백암교회 안에 영신보통학교도 설립되었다. 1907년 전국적으로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었을 때에는 아산의 부녀자들까지도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경과]

1915년 국내에 비밀결사 대한광복회가 조직되자, 아산 출신의 김재풍, 강석주, 성달영, 성문영, 정우풍, 조재하, 이덕재, 김성묵, 신태응, 이종대, 강정균 등은 충청지부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1917년 아산 지역에서 군자금 모집을 위해 친일 도고면장 박용하(朴容夏)를 처단하였는데, 이때 강석주·성달영·성문영 등은 도고면장 처단 의거를 성공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아산 지역에서의 3·1운동은 3월 11일 온양보통학교 교내에서 학생들이 시위운동을 전개하면서 시작되었다. 12일에는 학생들이 장날을 이용하여 온양 장터에서 주민들과 함께 독립 만세 시위를 벌였다. 100~200명이 참여한 온양 시위는 14일과 15일에도 계속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3월 14일 영인면 아산리 시장에서는 수백 명 규모의 시위가 있었으며 3월 18일 신창에서도 소규모의 시위가 전개되었다. 3월 말과 4월 초에 이르면서 독립 만세를 외치는 횃불 시위운동이 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3월 31일 밤에는 탕정면·염치면·배방면 등 각 마을 50여 곳에서 2,500명이 참여하였고, 4월 1일에는 탕정면·염치면·배방면·온양면·둔포면으로 확산되었으며, 4월 2일과 3일에는 신창면·영인면·인주면에서도 횃불 시위가 전개되었다. 이 밖에 송악면도고면에서도 3·1운동에 참여한 기록이 확인된다. 4월 4일 선장면에서는 200여 명의 군중이 군덕리 시장에 모여 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헌병 주재소를 공격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군의 발포로 최병수가 순국하였다. 아산의 학생과 주민들은 온양면의 현창규, 백암교회김복희(金福熙)한연순(韓連順), 신창면의 이덕균(李德均)과 박민성(朴敏成), 선장면정수길(丁壽吉)·서몽조(徐夢祚)·임천근(林千根)·오상근(吳相根) 등이 이끄는 3·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920년대 이후 아산 지역의 주민들은 각종 사회단체를 결성하여 대중운동을 발전시켰다. 1922년 4월 이범석과 이민호 등이 소작인상조회를 결성하였으며 1923년 4월에는 유기영과 윤대영 등이 민립대학기성회 아산지방부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1927년에는 재만동포옹호동맹을 결성하여 신간회 운동에 동참하였다.

백정의 신분 해방운동인 형평운동도 아산에서 전개되었다. 1924년 4월 형평사 분사를 설립하였고, 1929년에는 온천지부를 추가로 설립하였다. 독자적 형평사 회관을 가진 아산의 형평사 운동은 온양 출신의 이한용이 주도하였는데, 이한용방화산 등과 함께 1931년 9월 아산농민조합 창립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1930년대 형평사에서는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청년들을 중심으로 형평청년전위동맹을 결성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1932년 일제가 형평청년전위동맹 조직을 탐지하고 참여한 인사들을 검거하였는데, 이한용이 이때 검거되었다.

1935년에는 충청남도 지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소작쟁의가 일어날 만큼 농민운동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30년과 1931년에는 도고면의 농민들이 도고수립조합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1933년 12월에는 이선준 등이 아산적색농민조합을 결성하여 농민운동을 지도하였다.

1931년 이충무공 묘소 위토(位土)[제사 또는 이와 관련된 사항들을 집행하는 데 드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토지]가 경매 위기에 처하게 되자 『동아일보』에서 전국적인 성금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를 계기로 이충무공유적 보존 운동이 전개되었고, 윤치호(尹致昊)가 회장을 맡았다. 1932년 성금을 활용하여 현충사를 중건하고 영정 봉안식을 거행하였다. 3만여 명이 참석한 대회 기사가 언론을 통해 전국적으로 알려지면서 아산은 항일 독립운동의 승리를 상징하는 장소로 인식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는 천도교 구파 인사들이 멸왜기도운동(滅倭祈禱運動)을 전개할 때, 아산의 천도교인들도 이에 참여하였다. 1938년 일제에 의해 멸왜기도운동 관련자들이 검거될 때 아산의 천도교인들도 고초를 겪었다. 1940년대에는 임형선이 신창금융조합에 근무하면서 농민운동을 전개하던 중 1941년 12월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결과]

1945년 8월 15일 충청남도 아산 지역을 포함하여 우리 민족이 일제에 빼앗긴 주권을 회복하였다.

[의의와 평가]

아산지역 독립운동은 1894년부터 1945년 광복되기까지 항일 의병 활동, 구국 계몽운동, 비밀결사 운동, 대중운동, 문화 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3·1운동을 통해서는 아산의 전 지역 주민이 민족공동체로 결집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기여함으로써 국민국가 건설의 토대를 닦았다. 특히 1930년대 이충무공유적 보존 운동을 통해 항일 독립운동의 승리를 상징하는 지역이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