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416 |
---|---|
한자 | 國債報償運動 |
영어공식명칭 | The National Debt Compensation Movement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조형열 |
1907년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나라 빚을 국민들의 모금으로 갚고자 일어난 국권수호운동.
아산 지역의 국채보상운동 지회 건설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는다. 아산 지역의 국채보상운동은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국채보상금을 의연(義捐)[사회적 공익이나 자선을 위하여 돈이나 물품을 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여성들에 의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을사조약 이후 국권회복운동이 애국계몽운동과 의병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애국계몽운동은 학교 설립을 통해 독립 역량을 기르자는 교육계몽운동과 성금을 모아 나라를 위기에서 구해 내자는 국채보상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아산에 살던 노동자 출신 안봉삼(安鳳三)은 임금 중 국채보상금 명목으로 80전(錢)을 모아 아내에게 맡겼는데, 며칠 후 아내에게 돈을 달라고 했더니 2환(圜)을 마련해 놓았다. 아내가 자신의 머리를 깎아 성금으로 보탰던 것이다. 또한 궁내부 주전원경(主殿院卿) 양성환(梁性煥)의 딸은 원남면 백암리[지금의 염치읍 백암리] 이씨 가문에 출가했는데, 두 아들을 기르면서 국채보상운동의 소식을 듣고 20원의 성금을 내놓았다.
아산 지역민의 국채보상운동 참여는 여성이 주체적으로 참여한 운동이었다. 또한 보통 사람도 스스로 나라의 주인이라는 의식을 갖고 행동한 자발적 운동이었으며 소극적인 형태로나마 일제 침탈에 저항하는 국권회복운동으로서 의미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