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599
한자 御製李舜臣神道碑
이칭/별칭 상충정무비(尙忠旌武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고룡산로 12-38[삼거리 산2-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민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45년 - 이순신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598년 - 이순신 사망
건립 시기/일시 1794년연표보기 - 어제 이순신 신도비 건립
현 소재지 어제 이순신 신도비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고룡산로 12-38[삼거리 산2-1]지도보기
성격 신도비
양식 귀부이수
관련 인물 이순신
재질 오석|화강석
크기(높이,너비,두께) 233㎝[높이]|105.5㎝[너비]|47㎝[두께]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어제 신도비.

[개설]

어제 이순신 신도비(御製李舜臣神道碑)는 정조(正祖)가 충무공 이순신(李舜臣)[1545~1598]을 존경해 세운 신도비이다.

[건립 경위]

정조는 1793년 이순신을 영의정에 증직하고, 명나라 태조가 개국공신 무령왕(武寧王) 서달(徐達)의 비석을 건립하고, 전서(篆書)로 비의 이름을 새긴 예를 따라 이듬해인 1794년(정조 18)에 이순신의 신도비를 건립했다. 그런 뜻에 의해 비신 상단에 ‘상충정무지비(尙忠旌武之碑)’라고 전서로 새기고 명(銘)과 서문(序文) 1,189자를 직접 지어 왕후(王侯)의 명(銘)에 대신하였다. 그와 더불어 윤행임(尹行恁)에게 명해 『이충무전서(李忠武全書)』를 정유자(丁酉字)로 편찬하게 하여 1795년 완성되었다.

[위치]

어제 이순신 신도비이충무공 묘의 남동쪽 아래 50m 정도 지점인 이순신 묘역 아래 비각 안에 있다. 국도 45호선[충무로]의 음봉교차로에서 북동쪽 약 500m에 있는 이충무공 묘 입구에서 오른쪽 진입로를 따라 600m 정도 올라가면 있다.

[형태]

어제 이순신 신도비는 지대석 위에 비석 받침[비좌], 비신, 지붕돌[개석]로 이루어져 있다. 비신은 오석(烏石), 받침돌과 지붕돌은 화강석으로 제작되었다. 비문은 앞면에만 조각되어 있으며, 상단에 ‘상충정무지비’라는 단아한 전서체 글씨가 조각되어 있다. 정조가 지은 비문은 ‘충신의 비문은 마땅히 충신의 글자로 써야 하니, 안진경(顔眞卿)의 가묘비(家廟碑)를 집자(集字)하여 새기도록 하라’는 명에 의해 중국 당(唐)나라의 충신이자 서예가인 안진경의 글씨를 집자한 것이다. 비신은 높이 233㎝, 너비 105.5㎝, 두께 47㎝이다.

어제 이순신 신도비는 비각을 지어 보호하고 있다. 비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팔작지붕이 올려져 있다. 4각의 장주초(長柱礎) 위에 기둥을 세웠으며, 문을 설치한 정면 중앙 칸을 제외하고 모든 주초 사이는 화방벽을 설치하였다. 각 기둥은 둥근 기둥을 사용하였으며, 기둥 사이에는 벽 대신 홍살[紅箭, 투호에 쓰는 붉은 화살]을 설치하였다. 이 비각은 온양행궁에 1795년 건립한 영괴대비(靈槐臺碑) 비각과 동일한 요소가 많아 같은 장인들의 솜씨라고 여겨진다.

[금석문]

상충정무지비(尙忠旌武之碑)

[현황]

어제 이순신 신도비는 비각 안에 보호되고 있어서 마치 최근에 조성한 것처럼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비각은 대개 단칸인데 비해 정면 3칸, 측면 2칸이어서 묘비는 물론 비각은 마치 전각 같은 품격을 보여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어제 이순신 신도비는 정조가 비문을 짓고 세우게 한 이순신의 신도비다. 왕이 신하의 묘비문을 짓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정조가 문효세자의 신도비와 의빈의 묘비를 지은 것은 확인되지만, 그 밖에 왕이 신도비문을 지은 예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순신을 존숭했던 정조의 명으로 건립된 어제 이순신 신도비는 당대 최고 수준으로 제작되었다. 나라를 중흥한 공로의 기초가 된 것은 오직 이순신 한 사람의 힘이라 했던 정조의 마음, 그리고 자신도 나라를 중흥하고자 했던 정조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아산의 문화유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