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440
한자 市民社會運動
영어공식명칭 Civil Social Movement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홍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56년 11월 23일 - 「국정보호임시조치법」 연판장 날인에 반대하는 시민사회운동 발생
전개 시기/일시 1975년 - 언론 탄압에 반대하는 시민사회운동 발생
전개 시기/일시 1978년 12월 23일 - 노조 결성 부당노동행위에 반발하는 시민사회운동 발생
전개 시기/일시 1983년 - ’두레 활동’이라는 이름의 시민사회운동 발생
전개 시기/일시 1987년 - 아산인권선교회 천안·아산 6월 항쟁 계획 주도
전개 시기/일시 1990년 9월 - 우루과이 협상 저지 농민대회 전개
성격 시민 주도 사회운동

[정의]

6·25전쟁 이후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사회의 변혁·개량이나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시민 주도로 전개된 운동.

[개설]

정부의 다양한 정책 운영에 대하여 충청남도 아산 지역 주민들은 다양한 형태로 적극적인 참여 혹은 반대 의사를 보여 주었다. 정책 결정에 대하여 동조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시민 중심의 정책 결정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성명, 시위, 단체 조직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책에 대한 의견을 표출하였다.

[1950~1970년대 아산 지역의 시민사회운동]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시민사회운동은 다양한 주체에 의해 일어났다. 먼저 1956년 11월에 있었던 「국정보호임시조치법」 연판장 날인 반대 사건이다. 1956년 11월 23일 「국정보호임시조치법」 통과와 관련하여 각 읍·면 위원들이 연판장에 날인을 강요하는 일이 있었다. 이를 송악면 직원이 고백하였고, 온양읍내에 상주하던 언론사 기자단이 강력한 반대 의사를 내고, 법안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던 사건이다. 법안 중에 특히 주목되는 것은 29조 ‘허위 보도’에 관한 것으로 대개 경제 관계의 범법과 공무원의 범법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허위 보도의 경우에는 언론을 규제하는 언론 통제의 위험성도 있었다. 충청남도 지역 최초 언론 규제 반대 운동으로 의미 있는 사건이다.

1975년에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기자 해고 사건과 관련하여 온양읍에서 종교계의 성명 발표가 있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3월 10일~12일 온양에서 열린 세계교회협의회 제5차 총회 준비 협의회에서 언론 탄압 즉각 중지, 기자협의회 3·7 ‘자유언론 실천 선언’ 적극 지지, 조선일보사의 기자 신분 완전 보장, 동아일보사의 기자 해고가 동아일보사의 변절이 아니길 바람, 언론 자유 성취 시까지 계속 투쟁 등의 성명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78년 12월 23일에는 배방면의 국제방직 노동자들이 노조 결성에 대한 부당노동행위에 반발하며 항의 농성을 벌였다. 2,700여 명의 직원 중 600여 명이 농성에 참여하였다. 저임금, 연장근로수당 미지급, 휴식시간 부족, 휴일 미지급 등이 농성의 이유였다.

[1980년대 아산 지역의 시민사회운동]

1980년대 역시 군사정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1983년 충청남도 지역 탈패들이 ‘두레 활동’이라는 이름으로 감리교 계열의 송악교회, 음봉교회 등지에서 추수감사제를 기획하는 등 교회 공간을 활용하여 농민 문화 활동을 전개한 것이다. 이 당시 탈패들은 교회 또는 농민 단체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면서 정권에 대한 비판 등의 내용을 전하고자 하였다.

다음 해인 1984년에는 염치면[지금의 염치읍] 새암교회에서 발간한 『새암의 소리』가 폐간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1979년 3월 새암교회에 부임한 임인수 목사는 1983년부터 『새암의 소리』라는 신문을 발행하여 정권에 비판적인 글을 자주 실었다. 1984년 2월 12일, 「서울로 갈까 시골로 갈까」라는 기사에서 농가의 부채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를 실었는데, 인쇄소에서 이 기사를 보고 경찰에 신고하여 온양경찰서에서 폐간할 것을 요구한 사건이다. 폐간 이후에는 교회 주보를 통해 정부 비판을 계속하였다. 이로 인해 1984년~1985년 사이 천안·아산인권선교회가 창립되었다. 이 단체는 1987년 천안·아산 지역 6월 항쟁에 대한 계획을 주도하고, 곡교천 폐수 무단 방류 반대 주민 투쟁, 채석장 반대 주민 투쟁을 이끌었다.

1986년 3월 10일에는 인주면 영농후계자였던 오한섭이 자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정부의 농축산물 수입 정책과 복합영농 정책으로 진 빚더미에서 헤어나지 못하여 농약을 마신 것이다. 오한섭은 음독 후 3일 뒤 사망하였다. 이에 가톨릭농민회 충남연합회는 인주면 공세리성당에서 약 800명이 모인 가운데 추모식을 거행하였고, 이후 농가 부채 해결을 위한 투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9월에는 농산물 수입 반대를 위한 궐기도 있었다. 오한섭 사망 1주기인 1987년 3월에는 무장경찰의 방해로 묘소 참배조차 할 수 없었으며 심지어 납치사건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아산 지역에는 1990년 8월 19일 아산농민회가 결성되었다.

1988년에는 전국적으로 수세 폐지 운동이 벌어졌는데, 아산 지역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917년 수리조합 시절부터 걷었던 수세는 경작면적 단위로 부과되며 300평[991.7㎡]당 쌀 수십 ㎏을 걷는 구조였다. 1987년 당시에는 쌀 23㎏ 분량인 1만 1600원이 부과되어 농가에는 부담이 되었다. 이에 수세 철폐를 위한 대책위원회가 구성되었는데, 아산 지역에서도 수세폐지대책위원회가 11월 4일 결성되었다.

[1990년대 아산 지역의 시민사회운동]

1990년에는 우루과이라운드(Uruguay Round) 협상과 관련된 농민들의 저지 활동이 일어났다. 충청남도에서는 1990년 9월 7일과 22일, 두 차례에 걸쳐 대전 대흥동성당과 충청남도 각 지역에서 ‘우루과이 협상 저지 농민대회’가 진행되었다. 아산 지역에서는 22일 행사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면서 24일 온양 장날에 집회가 열렸다.

[의의와 평가]

대체적으로는 1950년대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반대하는 활동이 있었으며, 박정희·전두환·노태우 대통령으로 이어지는 군사정권 시기에는 도시·농촌·학생 등 다양한 계층의 민주화운동과 이후의 활동 등으로 이어졌다. 이 당시 전국적으로는 학생, 농민, 노동자, 종교계, 예술계, 교육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일어났는데,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농민 중심의 시민운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종교계에서도 다양한 활동 모습을 보여 주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