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311 |
---|---|
한자 | 一八七二年郡縣地圖溫陽郡 |
이칭/별칭 | 온양군 지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윤인수 |
작성 시기/일시 | 1872년![]() |
---|---|
소장처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
성격 | 고지도 |
용도 | 온양군의 읍세, 현황 파악을 위한 행정용 |
1872년에 편찬된 『1872년 군현지도』에 수록된 온양군의 지도.
『1872년 군현지도』 온양군 편은 1872년 현재의 아산시 배방읍, 송악면 일대를 묘사한 군현 지도이다.
고종 즉위 이후 재정 확보, 군제 정비를 위하여 1871년 열읍지도등상령(列邑地圖謄上令)이 발표되고, 각 군현에서는 지도를 제작하여 1872년에 올렸는데 이때 제작된 온양군의 지도이다.
『1872년 군현지도』 온양군 편의 크기는 가로 52.0㎝, 세로 80.0㎝이며 회화식 지도이다.
주요 행정구역 및 행정관청, 향교, 군기고(軍器庫), 사창(社倉), 행궁과 사찰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주기사항으로 온양군의 연혁과 서울 및 충청감영(監營), 병영(兵營), 수영(水營)과의 거리가 나타나고 있다.
『1872년 군현지도』 온양군 편은 19세기 말 온양군의 관아 및 군기고, 향교, 향청, 사창, 온양행궁의 구조와 건물 배치를 매우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어 관련 사적의 정비나 복원 사업에서 참고할 만한 1차 사료로서 주목된다. 아울러 온궁으로의 주요 도로가 붉은색으로 표시되고 ‘어로(御路)’가 주기된 것 또한 조선시대 임금의 온행 경로를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그 밖에도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이후 철폐된 서원을 주기하고 있어, 이때 훼철된 정퇴서원(靜退書院)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도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