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684
한자 孟世衡
영어공식명칭 Maeng Sehyeong
이칭/별칭 여평(汝平),하곡(霞谷),만은(晩隱)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남상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8년연표보기 - 맹세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26년 - 맹세형 예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에 임명, 『광해군일기』 편찬 참여
활동 시기/일시 1636년 - 맹세형 구성부사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제용감정에 임명, 선산부사에 임명, 금오성 수축 및 군정 정비 후 남한산성으로 출군하려 했으나 경상감사 명령으로 중지됨
활동 시기/일시 1653년 - 맹세형 군자감정, 봉상시정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56년 - 맹세형 통정대부로 승진
몰년 시기/일시 1656년 7월연표보기 - 맹세형 사망
출생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맹세형 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
성격 문관
성별
본관 신창
대표 관직|경력 통정대부

[정의]

조선 후기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출신의 문신.

[개설]

맹세형(孟世衡)[1588~1656]은 고려 때 수문전제학(修文殿提學)을 지낸 맹희도(孟希道)의 9세손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가계]

맹세형의 본관은 신창(新昌), 자는 여평(汝平), 호는 하곡(霞谷)·만은(晩隱)이다. 조선시대 명재상 맹사성(孟思誠)의 8세손으로, 사첨시정(司瞻侍正) 맹익선(孟翼善)의 증손이고, 집의(執義)에 추증(追贈)된 맹유백(孟惟白)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승지(承旨)에 추증된 맹희(孟喜)이며, 어머니는 양주조씨(楊州趙氏)로 열녀정문(烈女旌門)을 받은 조눌(趙訥)의 딸이다. 부인은 해주최씨(海州崔氏) 최준(崔濬)의 딸이다.

[활동 사항]

놀기를 좋아하는 맹세형이 낚시를 하고 돌아오자 어머니가 "너는 과부의 아들로 학문을 폐하고 이리하느냐?"며 울먹이자 슬피 울면서 마음을 다잡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일이 없을 때에도 항상 어머니 곁에 있었으며, 관원으로 재직 시에도 경치 좋은 곳이 있으면 반드시 어머니를 모시며 극진하게 봉양하였다. 또한 양로연(養老宴)을 베풀어 백성들의 풍속을 교화하고 구휼(救恤)[재난을 당하거나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이나 물품을 주어 도움]하였다.

1623년(인조 1) 정시문과 을과(乙科)로 급제한 후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 박사(博士),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호조좌랑, 형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1626년(인조 4) 예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으로 기용된 뒤에는 『광해군일기』 편찬에 참여하였다. 1629년(인조 7) 금산군수, 호조낭관(戶曹郎官), 장흥부사를 역임한 후 제용감정(濟用監正)이 되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발발 후 선산부사로 제수되어 금오성(金吾城)을 수축하고 군정(軍政)을 정비한 후 남한산성으로 출군하려 했으나 경상감사 명령으로 중지되었다. 병자호란이 삼전도(三田渡)의 굴욕으로 마치자 ‘시무(時務) 10조(條)’를 올려 척화신(斥和臣)의 등용을 건의한 바 있으며, 다수의 관직을 맡아오다가 봉상시정(奉常侍正)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이르렀다. 1656년(효종 7) 69세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맹세형은 김장생의 문인으로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허주(虛州) 김반(金槃) 등과 교유하였다. 좌윤(左尹) 여유길(呂裕吉), 장령(掌令) 조익(趙翊), 참판(參判) 이명준(李命俊)에게 수학하면서 여러 차례 향시에 합격하였다.

[묘소]

맹세형의 묘소는 온양 동화리 배골[현재 아산시 송악면 동화리] 선산에 있다가 부인이 죽자 광덕산 기슭 백악동[현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에 옮겨 합장하였다. 사후에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판 겸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 등에 추증되었는데, 문중에서는 ‘안동공(安東公)’으로 지칭된다.

[상훈과 추모]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아산 맹씨행단 입구에 400여 년이 된 회화나무 한 그루가 심어져 있는데, 맹세형이 과거에 급제한 기념으로 심은 것으로 보인다. 맹세형은 어머니의 영향과 청백리 맹사성의 후손으로 임금에게는 충성을 백성에게는 사랑을 실천하며, 검소하고 올곧게 살아온 인물로 후세에 귀감이 되었다. 아들 맹주서(孟胄瑞)도 지극한 효자였다.

[참고문헌]
  • 『아산인물록』(온양문화원, 2008)
  • 인터뷰(신창맹씨 대종회 맹오영, 남, 91세, 2018. 11.)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