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027
한자 民俗
영어공식명칭 Folklor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형동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서 예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의 전승 지식과 생활 습속.

[개설]

민속은 민간에 전하는 신앙, 설화, 풍속, 생활양식, 관습, 종교의례, 미신, 민요, 속담 등을 포괄하는 말이다. 민속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유지·향유되어 온 생활양식의 총화이다. 민속을 생활양식이라고 하는 것은 지리적·문화적·환경적 지역성 속에서 저마다의 삶을 개척해 온 흔적이 민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 철원군의 민속은 우리나라 민속의 보편성과 철원만의 지역적 특수성을 띠고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철원군의 일생 의례]

일생 의례는 인간이 태어나서 죽음을 맞이하기까지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큰 국면마다 치르는 의례를 말한다. 대표적으로는 관(冠), 혼(婚), 상(喪), 제(祭) 등 사례(四禮)를 꼽으며, 이 사례에 출산 의례, 수연례 등을 더하기도 한다. 철원의 일생 의례는 지역성이나 특수성을 이야기하기가 어렵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확인되는 일생 의례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으니, 이는 철원의 생활양식이 다른 지역과 큰 차이 없이 서구화·현대화되었기 때문이다. 민속은 생활환경이 변화하면서 함께 변모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일생 의례와 달리, 민속놀이와 세시풍속은 농경문화의 영향이 아직 강하게 남아 있어, 우리나라 민속의 보편성과 철원 민속의 특수성을 두루 살필 수 있다.

[철원군의 민속놀이]

귀족적 상층 문화의 놀이와 달리 민속놀이는 민간에서 행하여지는 제의이자 오락이라는 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향토성, 역사성, 지속성을 강하게 나타낸다. 철원군의 민속놀이가 가장 다양하게 전하여 오는 지역은 갈말읍 토성리이다. 토성리토성농악은 경기 지역 농악의 쇠가락, 연희 방식과 유사하다. 일제 강점기와 6·25전쟁기를 거치면서 잠시 맥이 끊겼으나 1980년 최재길(崔在吉)을 중심으로 풍물패가 다시 구성되어 현재까지 전승과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토성리의 토성농요는 평야지대의 농요로서 풍물놀이와 함께하는 동적이며 해학적인 노동요이다. 「모심기농요」, 「논매기농요」 등 농사일의 노동과정에 필수적인 협동과 단결을 고취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토성 풍년 낟가리놀이는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와 민속놀이가 결합한 형태로, 세시풍속인 머슴날과도 연결되며 풍물놀이의 성격도 보이고 있다.

철원 거화대령은 정월대보름을 기해 철원읍 화지리동송읍 오덕리 두 마을 주민들 사이에 석전과 횃불싸움놀이와 솔다리놓기 등의 행사로 이루어지는 놀이인데, 충무공 김응하(金應河) 장군을 추모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서면 자등리에서 전하여 오는 자등골 화전놀이는 산을 일구어 생활을 하던 화전민들의 애환을 담은 놀이이다. 농기싸움놀이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기세배놀이, 농기싸움놀이와 유사하다.

[철원군의 세시풍속]

세시풍속은 일 년을 주기로 사계절의 일정한 날에 주기적·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행동 양식과 생활양식을 일컫는다. 세시풍속은 대부분 농경문화를 기반으로 유지된 것이어서,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급격한 변화를 겪은 우리나라의 경우는 세시풍속에도 변화가 따를 수밖에 없었으니 철원군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철원군에서 가장 많은 세시풍속이 남아 있는 것은 음력 1월, 곧 정월이다. 가장 큰 명절인 설이 있고, 또 한 해를 시작하는 때인만큼 한 해의 운수를 점치기도 하고, 여러 일에 조심하고 금기하기도 하며, 농사를 시작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준비를 한다. 특히 정월대보름을 중심으로 농경과 관련된 일들이 집중되어 있다. 2월에는 일꾼날, 좀생이별보기 등의 세시풍속이 남아 있다. 3월에는 삼짇날, 청명, 한식 등의 세시가 남아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에 하는 과일나무 시집보내기를 철원에서는 한식 무렵에 한다.

4월에는 초파일이 있으나 과거처럼 연등을 하는 일은 없다. 5월에는 단오가 있다. 절식인 취떡을 사 먹는 정도로만 남아 있다. 옛날에는 6월 유두에 밀전병을 부쳐 먹었으나, 요즘은 그런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6월 중에 드는 복날에는 보양을 위한 개장국을 먹는다.

7월 칠석이나 백중에도 현재는 특별한 세시풍속을 찾아보기 어렵다. 8월에는 큰 명절인 추석이 있다. 설과 마찬가지로 차례, 성묘 등의 의례를 치르고 절식으로 송편을 먹는다. 9월에는 중양절이 있는데 서면 와수리에서는 천제사를 지낸다.

10월에는 상달이라고 하며, 시제를 지낸다. 또 10월 20일 무렵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 ‘손돌이 죽은 날’이라고 한다. 11월에 세시풍속으로는 동지가 있다. 동지는 팥죽을 먹으며 지낸다. 12월 그믐날에는 밤을 새는 풍속이 있다. 와수리의 경우는 섣달그믐을 ‘작은 명일’이라고 하며 아침에 만둣국과 어적, 주과포, 녹두부침개,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나박김치로 ‘작은 명일 차례’를 지냈다고 한다.

그 밖에도 윤달이 들면 집을 수리하거나, 수의를 마련하는 풍속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