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620 |
---|---|
한자 | 牙山邑內洞幢竿支柱 |
영어공식명칭 | Flagpole Supports in Eupnae-dong, Asan |
이칭/별칭 | 읍내동 당간지주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동 255-5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조원창 |
건립 시기/일시 | 고려시대 -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 조성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1년 7월 7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 보물 재지정 |
현 소재지 |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 -
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동 255-5
![]() |
성격 | 당간지주 |
재질 | 화강석 |
크기(높이) | 높이 350㎝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아산시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 |
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동에 있는 고려시대 당간을 걸어두기 위하여 세운 기둥.
당간지주는 규모가 큰 사찰의 입구 맨 앞에 세워졌던 불교 유적이다. 당(幢)은 농악에 쓰는 농기(農旗) 비슷하게 길게 늘어뜨린 형태의 깃발이며 사찰에 법회 등 행사가 있을 때 거는 불교 용구이다. 이 당을 높이 매다는 긴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고, 당간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지지하기 위해 만든 한 쌍의 긴 돌기둥이 당간지주(幢竿支柱)이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는 1971년 7월 7일 보물 제53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는 고려시대에 조성되었으며 현재의 위치에 원래부터 그대로 있었다. 당간지주 주변에서 과거에 기와조각과 석탑재가 발견된 바 있어 인근에 고려시대의 절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는 아산시 읍내동 255-5에 자리한다. 온양온천역에서 남남동쪽 직선거리 2.4㎞ 남짓한 지점이며, 속칭 ‘구온양’이라 하는 곳이다. 서쪽 인근에 국도 39호선, 북쪽에 마을길[온주길]이 개설되어 있다.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는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긴 돌기둥 두 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이다. 높이는 350㎝, 맨 아래의 너비는 58~59㎝, 두께 43㎝이며 두 지주 사이는 약 85㎝이다. 당간지주 위와 아래의 너비와 두께가 큰 차이가 없어서 당당한 느낌이며 바깥 면의 양 모서리를 깎아 모 죽임을 하였다. 당간지주의 정상부는 바깥을 향해 호형으로 부드럽게 깎아 놓았으며 기둥 중간에 간공[구멍]은 없다. 정상부에만 안쪽에 간구, 즉 나무를 끼워 당간을 고정하기 위한 홈이 각각 하나씩 만들어져 있는데 간구 아랫부분은 둥글게 처리하였다.
두 지주 사이에는 당간을 받치는 간대[당간받침]가 놓여 있다. 간대는 자연석 윗부분을 둥글게 다듬고 가운데가 복발(覆鉢)처럼 볼록 솟아 있어서 전립(戰笠, 氈笠) 또는 벙거지 비슷한 형태이다. 이러한 간대의 모습으로 보아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 사이에는 철 당간을 세워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당간지주와 간대는 대개 기단석 위에 조성되나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에서는 이러한 기단석을 볼 수 없다. 기단석이 있을 부분까지 흙으로 덮여 있고, 기단석이 유실된 것인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는 당간지주와 간대(竿臺)만 남아 있으며 당은 물론이고 당간도 남아 있지 않다. 오른쪽 당간지주의 바깥쪽 윗부분 일부가 간구까지 깨져 있다. 당간지주의 주변으로는 석축의 옹벽과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당간지주가 낮은 곳에 서 있는 상황인데 이는 도로와 주변 부지가 지속적으로 돋우어졌기 때문이다. 최근에 다시 한번 주변이 정비되었고 남쪽에 정자도 마련되었다.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는 아산 지역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당간지주이다. 특별한 조각 등이 없어서 화려하지 않지만 엄정하면서도 단아한 느낌을 준다. 비록 당간과 기단석을 볼 순 없지만 이 존재만으로도 고려시대의 큰 사찰이 주변에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읍내동은 1913년까지 조선시대 온양군 등 백제 탕정군 이래로 고을 관아가 있던 치소였다. 고려시대까지는 관아 인근에 사찰이 위치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당간지주 주변에 기와조각이 많이 있었고 석탑 부재도 확인되며 연못[연당]의 석축 흔적이 남아 있었다. 또한 온양향교 동남쪽 밭에 석탑이 서 있었다는 이야기 등으로 보아 당간지주 북쪽에 고려시대의 큰 사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찰명을 비롯해서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사항이 전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