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종군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398
한자 白衣從軍-
영어공식명칭 The Asan Route of Admiral Yi Sunsin Serving in War as an Enlisted Man
이칭/별칭 백의종군로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제장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로
길이 640.4㎞[총 구간]|149.5㎞[충청남도 구간]|66.2㎞[충청남도 아산시 구간]

[정의]

이순신이 1597년(선조 30) 4월 1일부터 백의종군을 시작한 후 1597년 4월 5일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 도착하여 4월 19일 아산을 떠나기까지 걸었던 길.

[개설]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백의종군길(白衣從軍-)은 2015년 의금부(義禁府)[현재 종각역 부근]에서 출발해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서 전라남도 구례군까지의 연결 구간 15.5㎞를 포함해 총 640.4㎞에 이른다. 백의종군길 중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초등학교에 이르는 340.2㎞ 구간이 새롭게 고증됨에 따라 그동안 지방자치단체에서 고증한 경상남도 161.5㎞, 전라남도 123.2㎞에 달하며 이 중 충청남도 아산시의 백의종군길은 원형일 경우 66.2㎞에 달한다.

[명칭 유래]

이순신의 백의종군에 대한 기록은 전근대 시기부터 있어 왔지만 백의종군길 또는 백의종군로는 현대 시기에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특히 2006년도 경상남도에서 ‘이순신 프로젝트 사업’ 추진 시 이순신백의종군로를 고증하는 사업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불리게 되었다.

[제원]

2015년 3월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에서 개최한 ‘충무공 이순신 백의종군로 고증결과 보고회’에 따르면, 충청남도 전체 원형 백의종군길은 총 149.5㎞이며 신작로 부분 훼손으로 인한 대체로 구간을 포함하면 153.9㎞로 고증되었다. 충청남도 아산시의 백의종군길은 원형일 경우 66.2㎞이며 대체로 구간을 포함할 경우에는 67.2㎞ 구간이다.

[건립 경위]

2014년 해군본부가 발주한 ‘충무공 이순신 백의종군로 고증 용역사업’을 2014년 5월 20일부터 2015년 1월 20일까지 약 8개월 간에 걸쳐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가 맡아서 서울부터 경기도, 충청남도를 거쳐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까지 340.2㎞에 달하는 미고증된 이순신 백의종군길을 고증한 바 있다. 이 중 충청남도 아산시의 백의종군길이순신이 1597년 4월 5일 아산 지역에 도착하여 4월 19일 떠나기까지 14일간의 행적을 조사하여 구간별로 표시한 것이다.

[변천]

이순신백의종군길은 오늘날 원형 복원이 어렵다. 산업화·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항만 매립, 도로 및 건축물 축조 등으로 훼손되어 현재는 일부 구간만 옛길로 남아 있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흔적이 남아 있는 일부 구간만이라도 복원하여 역사적·문화적 역할을 수행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황]

먼저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이순신이 걸은 곳을 『난중일기(亂中日記)』에 기록된 날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1597년 4월 5일~12일

"평택현을 출발하여 분산(墳山)[선영]에 이르러 울며 절했다. 외가로 가서 사당에 절했으며, 조카 뇌(蕾)의 집에 가서 선대의 사당에 참배한 후 본가에 도착해 빙부모(聘父母) 신위에 절했다."

2. 4월 13일~15일

"본가에서 해정로(海汀路)를 따라 해암(蟹巖)으로 가 배에서 어머니 시신을 맞았다."

3. 4월 16일~18일

"배를 중방포(中方浦)까지 끌어온 다음 영구를 상여에 싣고 왔다."

4. 4월 19일

"본가를 출발하여 금곡(金谷) 강선전(姜宣傳)의 집 앞에 도착 후 천안 보산원(寶山院)까지 갔다."

위의 행적을 바탕으로 현재 아산의 해당 구간을 고증하면 다음과 같다.

1. 평택현~아산 분산

오늘날 지도에 표기하면,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팽성송화로~송화사거리~사거리길~석근길~석근1길~운선교~운용삼거리~운용길~아산밸리서로~아산테크노밸리 일반산업단지 서북쪽을 가로질러~장영실로~운교길129번길~운교길126번길~둔포천 건너~관대안길~산전길55번길~서피골~산전길 가로질러~관용로~산전사거리 부근 국도 45호선~봉재삼거리~오리골삼거리~음봉면로~어르목~음봉면 행정복지센터~충무공 신도비로 이어진다.

2. 아산 분산~아산 외가

이 구간을 1918년 조선총독부 육지측량부에서 발행한 지도에 표기하면, 어라산에서 삼거리~음봉천(陰峯川) 동변~점촌교 동쪽~윤보선(尹潽善) 전대통령 묘~시곡마을로 이어진다. 그런데 오늘날 이 길은 중간에 골프코스와 푸른들영농조합법인 공장으로 막혀 있으므로 우회 코스를 이용해야 한다.

3. 아산 외가~아산 본가

아산 외가는 음봉면 동천리 시곡마을이고 본가는 염치읍 백암리 뱀밭마을이다. 1918년 조선총독부 육지측량부에서 발행한 지도에 따른다면, 시곡마을에서 백암리 뱀밭마을에 이르는 지름길이 산길 소로로 나타난다. 그 지름길은 시곡마을에서 남쪽으로 고개를 넘어 염치읍 방현리 갈월마을을 지나고, 다시 고개를 넘어 쇠일마을을 거친 뒤에, 또 남동쪽으로 고개를 넘어 염치읍 송곡리 속골[버랭잇골]로 접어든다. 이어서 동쪽으로 서낭댕이고개를 넘어 백암리 한줄[골짜기 이름]에 이른 뒤에 뱀밭마을에 이른다.

4. 아산 본가~아산 해암

이 구간을 오늘날 지도에 표기하면, 염치읍 백암리 현충사 내의 이충무공 고택~배터거리~소정리~석정리~옥정리~곡교리~염성리 염치마을~지방도 624호선~인주면 해암리 신성마을로 이어진다.

5. 아산 해암~중방~아산 본가

오늘날 지도에 표기하면, 인주면 해암리 신성마을 해암에서 곡교천을 따라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다가 염치읍 중방리 안말마을 부근에서 육지로 올라와 전과 동일한 육로를 거쳐 본가로 이어진다.

6. 아산 본가~아산 금곡~천안 보산원

오늘날 지도에서는 염치읍 백암리~신동 윗배턱거리~소신리~신동 벌말~남동 남리~배방읍 신흥리 감타기마을~금곡천 동쪽 길~수철리 음달 조피네마을~넙치고개[넙티고개, 광치]~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외보마을에 이르는 길이다.

[관련 기록]

백의종군과 관련된 기록으로 『난중일기』,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大東地志)』, 『세종실록지리지』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백의종군길은 400여 년 전에 이순신이 백의종군이라는 처벌을 받은 죄인의 신분으로 전장으로 향했던 길로서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높다. 그러나 오늘날 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도로 개설, 건축물 축조 등으로 훼손되어 현재는 일부 구간만 옛길로 남아 역사적·문화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이순신 백의종군길을 복원하는 사업을 지방자치단체별로 추진하고 있다.

충청남도 아산시의 백의종군길은 다른 어떤 지역보다 그 의미가 크다. 이순신의 성장지이며, 아산 이충무공묘가 있는 곳으로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증된 백의종군길을 아산 시민들과 학생들이 걸어 봄으로써 충무공 이순신의 구국정신을 체험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