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262 |
---|---|
한자 | 牙山灣防潮堤 |
영어공식명칭 | Asanman Tide Embankment |
이칭/별칭 | 아산호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안금록 |
준공 시기/일시 | 1974년 5월 22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8년~2014년 - 아산만방조제 배수갑문 확장사업 실시 |
최초 설립지 | 아산만방조제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
현 소재지 | 아산만방조제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 |
성격 | 방조제 |
면적 | 길이 2,564m|너비 150m|높이 8.5m~17m |
전화 | 031-681-2181[한국농어촌공사 평택지사]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와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일대로 흘러드는 하천의 입구를 가로막은 둑.
아산만방조제는 아산만 일대의 홍수 피해를 줄이고 그 주변을 관광지로 이용하기 위하여 건설한 방조제이다. 1971년 착공하여 1974년 5월 22일 준공하였으며, 총 377억 원의 공사비가 투입되었다.
아산만방조제는 안성천과 진위천의 홍수 피해를 줄이고, 평택 지역의 대단위 농업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아산시 일대 임해공업단지의 공업용수 공급 등을 위해 건립되었다. 동시에 아산만 일대를 관광단지로 개발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아산만방조제 배수갑문 확장사업’은 전국 최초의 하구둑 구조개선사업으로 2006년 기본 계획 후 2007년 실시 설계를 거쳐 2008년 10월 착공하여 2014년에 완료되었다. 총사업비 1,077억 원이 투자된 아산만방조제 배수갑문은 기존 배수갑문 수문 120m에 배수갑문 176m를 추가 확장해 전체 폭 296m 규모를 갖추게 되었으며, 배수갑문 배제량이 초당 2,460㎥에서 7,530㎥까지 늘어나 홍수 배제 능력이 약 3배로 확대되었다. 통선문 겸용 어도도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선박 30톤급과 회유성 어류의 이동이 가능해졌다. 배수갑문 최초로 통선문 내에 대형 수조창도 설치해 통선문 가동 시 어류가 이동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배수갑문 관리동에는 공원, 전망대, 전시관 등의 시설을 설치해 관광자원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아산만방조제는 건설 당시 아산군과 평택군을 연결하며 길이 2,564m, 평균 높이 8.5m이고 최고 높이 17m이다. 윗넓이 16m, 밑넓이 168m이며, 12연의 배수갑문이 설치되어 있고, 그 길이는 150m에 이른다. 총 사업비 377억 원을 들여 1971년에 시작되어 1974년 5월 22일 완공되었다.
아산만방조제가 축조됨으로써 저수량 1억 2300만 톤에 달하는 인공 담수호인 아산호(牙山湖)가 생겼고 경기도·충청남도에 걸친 2개 시, 2개 군 지역의 홍한대책(洪旱對策)이 크게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4,674㏊에 달하는 새로운 농지 확보와 5만 4983톤의 미곡 증산 효과도 가져왔다. 그 밖에도 양어·양식 사업의 터전을 마련하게 되었고, 제방 위에 너비 12m의 새로운 도로가 개설됨으로써 평택시와 아산시 사이를 쉽게 왕래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