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786
한자 李敏華
영어공식명칭 Lee Minhwa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방현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병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8년 1월 13일연표보기 - 이민화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7년 - 이민화 만주에서 서로군정서 교관, 북로군정서 사관연성소 교관으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19년 8월 - 이민화 교관으로 파견
활동 시기/일시 1920년 10월 - 이민화 청산리전투에 종군장교로 참가
몰년 시기/일시 1923년 9월 13일연표보기 - 이민화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3년연표보기 - 이민화 건국공로훈장 추서
출생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방현리 지도보기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 서울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본관 덕수
대표 경력 독립운동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출신의 항일 무장 독립운동가.

[개설]

이민화(李敏華)[1898~1923]는 1917년 만주로 망명하여 서로군정서 교관, 북로군정서 사관연성소 교관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10월 청산리전투에 종군장교로 참가하였으며, 독립군의 북정에 참가하여 러시아 자유시사변(自由市事變) 이후 고려혁명군 장교로 활동하였다. 1923년 노령(露領)과의 국경지대인 밀산(密山)에서 일본군의 사주를 받은 중국 토비[마적단]와 교전 중 사망하였다.

[가계]

이민화의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1898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방현리에서 아버지 이규진과 어머니 김해김씨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활동 사항]

이민화충무공 이순신의 11대손으로 13살 때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의 창원유씨와 혼인하고 처가에 살면서 학문을 닦았다. 1917년 외아들의 돌이 지날 무렵 만주로 망명하였다. 다만, 어머니에게만 "충무공 할아버지의 자손으로서 아무도 왜놈과 싸우는 이가 없으니 내가 그 일을 하겠다."는 말을 넌지시 비쳤다고 전한다. 서로군정서 교관으로 활동한 기록을 통해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신흥무관학교에는 아산 출신의 같은 충무공 후손 이세영이 교장을 지내기도 하여 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919년 8월 북로군정서 사령관 김좌진이 사관연성소를 신설하기 위해 요원을 보내달라는 요청에 따라 이범석을 비롯하여 김훈, 오상세, 박영희 등과 함께 교관으로 파견되었다. 사관연성소는 1920년 3월 왕청현 십리평에서 정예 군인 양성을 목표로 개교되어 1920년 9월 제1회 졸업생 298명을 배출하였다. 10월 청산리전투에서는 김훈, 이교성, 한건원 등과 함께 종군 장교로 최일선에서 전투를 지휘하였다. 이후 밀산에 집결한 독립군은 대한독립군단을 결성하고 러시아로 건너가 자유시사변을 겪었다. 자유시사변으로 한인독립군 부대가 와해된 후에는 고려혁명군 사령관 김규식과 함께 장교로 활동하였다. 1923년 9월 13일 러시아에서 북만주로 귀환 중 밀산에서 일본군의 사주를 받은 중국 토비와 교전 중 사망하였다.

[묘소]

이민화의 묘는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정부는 이민화의 독립운동 공훈을 기려 1963년에 건국공로훈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