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2년 지방지도』 「덕산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0058
한자 1872年地方地圖德山郡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문서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민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72년 - 『1872년 지방지도』 「덕산군」 제작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정의]

1872년에 제작된 『1872년 지방지도』 중 현재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봉산면, 고덕면, 삽교읍 일대를 포함하는 덕산군의 지도.

[개설]

『1872년 지방지도』는 개항기인 1872년에 제작된 필사본 회화식 지도책이며, 국가 주도로 제작된 전국 단위의 군현 지도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흥선대원군은 중앙 집권적 정치체제 확립과 서양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종 개혁 정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지방의 실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군현의 읍지와 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1871년(고종 8) 전국 군현의 읍지 편찬을 명하고, 이듬해인 1872년(고종 9)에는 모든 군현과 군사시설 등을 지도로 제작하여 올리라고 명령하였으며, 그 결과 『1872년 지방지도』가 제작되었다.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제작되어 수합하였기 때문에 통일적이고, 체계적으로 그려지지는 못하였으나 이전의 지도들보다 큰 규격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지도에 들어 있는 각종 정보는 풍부한 편이다.

[형태]

『1872년 지방지도』는 회화식 채색 지도로 총 459매이다. 전국의 모든 고을과 군사 요충지 별로 한 장씩 그려져 있으며 각 지도의 규격은 가로 70~90㎝, 세로 1.0~1.2m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구성/내용]

『1872년 지방지도』 「덕산군」은 지금의 예산군 덕산면, 봉산면, 고덕면, 삽교읍 일대의 지도이다. 고을의 건치 연혁과 도리(道里), 각면 소속의 동리명(洞里名), 호구수(戶口數) 등이 주기된 것은 다른 군현 지도와 동일한 양식이다. 동서남북의 글자로 방위를 표시하였으나 서쪽을 지도의 상단으로 배치하였다. 산지는 맥세를 강조하여 표현하였는데, 흡사 머리털을 그린 것처럼 가는 선을 겹쳐 그렸다. 도로는 홍선[붉은색 선]으로 그려져 굵기를 달리하여 대로와 소로를 표시하였다.

홍선의 도로망을 따라 점(店)이 표시되어 있으며 고현내면(古縣內面)의 대천장(大川場)도 부각되어 있다. 비방곶면(非方串面)은 덕풍현(德豊縣)의 월경지로서 중간이 낀 지역인 천안과 홍주의 지역은 그리지 않고 글자를 써서 나타내었다. 사창과 제언이 또한 상세히 표시되었다. 덕산군 지역의 형승인 석문봉(石門峰)이 흡사 문과 같이 그려져 있다. 가야산 남쪽에는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와 제각(祭閣)이 강조되어 표현되었다. 남연군 묘는 1868년 오페르트에 의해 도굴되어 조선 사회에 큰 충격을 주기도 했는데 그 사건과 관련된 주기는 보이지 않는다. 그 밑에 있는 태봉(胎封)도 산봉우리에 부각시켜 표시하였다. 당시 경승지로 꼽았던 석문담(石門潭)과 와룡담(臥龍潭)은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로도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 관찬 지도 제작 사업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19세기 말 덕산군 내의 각종 행정, 제의, 군사 시설, 방면(坊面)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