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270
한자 堂祭祀
영어공식명칭 Religious Ritual for the Tutelary Spirit of Villag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집필자 곽규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당제사 - 충청남도 아산시 권곡동 지도보기 건구렝이마을
의례 장소 당제사 - 충청남도 아산시 풍기2동 밤줄마을 지도보기
의례 장소 당제사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가덕1리 지도보기
성격 민간신앙
의례 시기/일시 정월대보름 이전

[정의]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토지와 마을을 지켜 주는 마을신에게 행하던 제의.

[개설]

당제사(堂祭祀)는 마을신[당신(堂神)]을 섬기던 제의다. 마을신은 마을의 공동체 경험 및 신앙의 산물이다. 마을마다 독특한 숭배의 대상이 마을신으로 추앙된 경우가 많았고, 일반적으로 정해진 신당(神堂)에 모셨다. 아산 지역의 마을신에는 장승, 신혼부부, 장수, 전사한 장병, 다리, 돌, 거북이, 구렁이, 호랑이, 산신령 등 다양한 신위(神位)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된다.

[연원 및 변천]

당제사의 연원은 매우 오래전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문헌으로 시초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당제사는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대체로 정월대보름 이전에 시행한 것으로 보고되지만, 그 시행일은 마을마다 달랐다. 마을에서 마을신을 섬기게 된 이유를 ‘본풀이’라고 하는데, 아산 지역의 마을신에 대한 본풀이는 현재까지 많이 규명되지 못했다.

[신당/신체의 형태]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당집을 짓고 마을신을 모셨다. 일부 마을에서는 제를 지내는 장소에 임시 제당(祭堂)을 만들어 지내기도 하였다. 특히 당집이 있으면 권곡1통의 건구렝이와 풍기2동처럼 숭배의 대상으로 초상을 모시는 경우도 있었다.

[현황]

아산 지역의 당제사는 시대 변화와 지역 개발로 현재는 대체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다만 『아산의 동제』와 『아산시지』에 의하면, 지역의 대표적인 당제사로 다음의 기록이 전해진다.

먼저 온양3동 권곡동 건구렝이마을에서는 산신령과 처녀, 총각, 말을 탄 장수 등 4위의 신격(神格)을 마을신으로 모시고, 팽나무 옆 당집에서 정월대보름 전후부터 2월이 되기 전으로 날을 잡아 오전 10시에 당제를 지냈다. 풍기2동 밤줄마을은 신혼부부를 마을신으로 모셨으며, 신창면 가덕1리정월대보름 이전에 택일해 가야포구 가까운 곳에 있는 당집에서 자포성황, 산신, 우포성황의 마을 마을신에게 풍물과 함께 동제를 시행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어서 신창면 신달2리는 구평리마을 거북다리 밑에 있는 거북 모양의 바위를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겨 해마다 ‘거북다리제[참봉제]’를 지냈고, 읍내1리는 전사한 장병의 영혼을, 송악면 강장리 마을은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장군석’ 제사를 지냈다. 권곡동에서는 음력 정월대보름 전후 시기를 택일해 곡교천 가에 있는 제당에서 산신령과 호랑이에게 당제사를 시행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