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1208 |
---|---|
한자 | 牙山金石記文 |
영어공식명칭 | Asan Monument Epitaph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평호 |
저술 시기/일시 | 1993년![]() ![]() |
---|---|
편찬 시기/일시 | 1994년 - 『아산금석기문』 편찬 |
간행 시기/일시 | 1994년 9월 10일![]() |
소장처 | 순천향대학교 아산학연구소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순천향로 22 인문사회과학대학
![]() |
간행처 | 공주대학교 박물관 -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
성격 | 학술 논문집 |
저자 | 백원철 외 10인 |
편자 | 아산군|공주대학교 박물관 |
간행자 | 공주대학교 박물관 |
표제 | 아산금석기문(牙山金石記文) |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금석 자료, 제영과 기문 등을 아산군·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 엮은 학술 자료집.
『아산금석기문(牙山金石記文)』은 아산군·공주대학교 박물관이 아산 지역의 금석 자료, 제영과 기문 등을 모아 번역 글과 관련 논문을 함께 실은 학술 자료집이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금석문은 비석으로 건립된 것이 대부분이며, 이를 사적비, 묘비[신도비], 송덕비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 밖에 바위 벼랑에 각서(刻書)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건립 시기별로는 조선시대의 것만 현재 확인되어 있다. 금석문은 당대의 역사적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아산시에 지금까지 남아 있는 세조 때의 주필신정비(駐蹕神井碑)는 금석 자료로 잘 알려져 있는데, 『아산금석기문』은 이러한 금석 자료를 후대인들이 알기 쉽도록 한자 원문에 한글 번역본을 함께 수록해 놓았다.
『아산금석기문』의 집필은 백원철 공주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를 비롯해 이남석, 서정석, 신용호, 조원찬, 강헌규, 강석화, 양보경, 윤용혁, 김갑동, 김병기 등 11명이 분담하여 썼다. 표제는 ‘아산금석기문’이다. 발행처는 아산군·공주대학교 박물관이다.
『아산금석기문』은 1권 1책이며, 면수는 총 454쪽이다. 판형은 가로 180㎜, 세로 250㎜이다.
『아산금석기문』은 제1장 아산의 금석 자료, 제2장 아산의 제영과 기문, 제3장 아산의 역사 자료와 지지, 제4장 아산의 금석 자료에 대한 고찰 등 총 4장으로 이루어졌다. 제1장은 아산의 신정비·묘갈·묘표·사적비·석각·송덕비를 소개하고 있다. 제2장은 아산의 제영·기문·정려기문, 제3장은 아산의 땅 이름·규장각 소장 아산 역사 자료·아산의 지지와 지도가 포함되었다. 제4장은 아산 금석 자료의 역사적 배경, 아산 금석 자료의 인물 고찰, 아산의 석각 자료에 대한 서예적 고찰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금석문은 역사 고증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고대 문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금석문이 갖고 있는 고유한 예술성에도 의미와 가치가 있다. 『아산금석기문』은 아산의 금석 자료를 한데 모아 놓음으로써 후대 연구자들에게 자료 확보를 쉽게 해주었으며, 침식 등의 영향으로 훼손될 수 있는 금석 자료의 문헌적 보존성을 높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