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713 |
---|---|
한자 | 徐文澤 |
영어공식명칭 | Seo Muntaek |
이칭/별칭 | 윤장(潤章)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명진 |
출생 시기/일시 | 1657년![]() |
---|---|
활동 시기/일시 | 1689년 - 서문택 원주 유생 안전 등이 이이와 성혼을 문묘에서 축출할 것과 송시열의 처단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리자 이를 반박하는 상소를 올림 |
몰년 시기/일시 | 1706년![]() |
묘소|단소 | 서문택 묘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궁들
![]() |
성격 | 문관 |
성별 | 남 |
본관 | 달성 |
대표 관직|경력 | 주부 |
조선 후기 충청남도 아산에 묘를 쓴 문신.
서문택(徐文澤)[1657~1706]은 1689년(숙종 15) 원주 유생 안전(安洤) 등이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을 문묘(文廟)에서 축출할 것과 송시열(宋時烈)의 처단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리자 이를 반박하는 상소를 올렸다.
서문택의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윤장(潤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서성(徐渻)이고, 1599년(선조 32) 평안도관찰사 겸 순찰사(巡察使)에 임명되었다. 할아버지는 서경주(徐景霌)이며, 선조의 딸인 정신옹주(貞愼翁主)에게 장가를 들어 달성위(達城尉)가 되었다. 집안의 본관이 달성이므로 서경주는 선조의 부마로서 ‘달성위’에 제수된 것이었다. 또한 정신옹주는 인조의 고모였다. 아버지는 직장(直長) 서진리(徐晉履)이다.
서문택의 할아버지가 선조의 부마인 만큼 집안의 후광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아버지 서진리와 서문택은 『조선왕조실록』에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아 중앙에서 크게 활동하지는 못했다고 여겨진다. 서문택의 벼슬은 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였다고 하는데, 주부는 종6품 벼슬이었다.
아산시 송악면 궁평리 궁들 산 중턱에 부부 합장묘가 있으며, 신도비와 묘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