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566
한자 尹瑅亨家屋
영어공식명칭 Yun Jehyeong’s House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길52번길 21-10[신항리 12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선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11월 19일연표보기 - 윤제형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윤제형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윤제형가옥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길52번길 21-10[신항리 121]지도보기
성격 가옥
양식 안채-홑처마 팔작지붕|사랑채-홑처마 팔작지붕|아래채-팔작지붕, 맞배지붕|광채-홑처마 팔작지붕
정면 칸수 안채 4칸|사랑채 7칸|아래채 4칸|광채 4칸
측면 칸수 안채 2칸|사랑채 2칸|아래채 2칸|광채 2칸
관리자 심경화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 큰새말에 있는 개화기 윤제형의 주거 건축.

[개설]

윤제형가옥(尹瑅亨家屋)은 1900년경에 윤경선이 건립한 해평윤씨(海平尹氏) 가문의 가옥이며, 1986년 11월 19일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 121번지에 있다. 윤제형가옥은 새말 뒤편의 낮은 언덕을 배산(背山)으로 삼아 남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근에 있는 해평윤씨 집안이 공동으로 사용했다는 솟을대문으로 들어가면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윤일선가옥(尹日善家屋)의 뒤편에 붙어 있다.

[변천]

윤제형가옥의 정확한 건립 연대는 확인되지 않으며, 윤제형의 부친인 윤경선이 1900년경에 지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세부적인 보수, 개축 등의 사항은 파악되지 않는다.

[형태]

윤제형가옥은 ‘ㄱ’ 자형의 안채와 ‘ㄴ’ 자형의 사랑채가 이루는 튼 ‘ㅁ’ 자형의 배치 구조를 중심으로, 왼쪽[북서쪽]에 아래채가 있고 오른쪽[남동쪽]에 광채가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 뒤쪽과 광채 사이에는 작은 문을 두고 ‘ㄱ’ 자형으로 담을 쌓아 공간을 구분하였으며, 담으로 안채와도 구분된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ㄱ’ 자형으로 가운데에 대청마루를 두고 왼쪽과 오른쪽에 안방과 건넌방을 배치하였다. 안방 아래쪽에는 작은 온돌방과 부엌을 두었다. 안채는 전후좌우에 툇간[退間]을 배치한 독특한 구조이며,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사랑채와 문간채가 이어져 ‘ㄱ’ 자형을 이루는데 정면 7칸, 측면 2칸으로 지어졌다. 가운데 대문을 중심으로 동쪽은 사랑채, 서쪽은 문간채가 된다. 사랑채 툇간에는 툇마루를 설치하여 대청마루를 대신하였고, 사랑채 동쪽 면에는 방 사이의 동선을 고려하여 툇마루대신 쪽마루를 두었다. 문간채는 헛간, 마루방,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쪽마루는 한두 조각의 통널을 가로 대어 좁게 깐 툇마루인데, 툇마루와 달리 기둥 바깥쪽으로 만들어지는 마루이다.

아래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ㅡ’ 자형으로 가운데에는 전면에 툇마루를 설치한 온돌방, 좌우에 부엌과 창고를 배치하였다. 지붕은 집 대문에서 보이는 서남쪽은 팔작지붕, 보이지 않는 동북쪽은 맞배지붕으로 만들었다.

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ㅡ’ 자형으로 건물 좌우 끝의 뒤쪽 툇간에는 화장실과 마루, 창고를 배치하였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현황]

윤제형가옥에는 후손이 생활하고 있으며 1995년 보수공사를 하였다. 이후에도 지붕 기와 교체, 목재 부분 방염 처리 등 부분적인 보수를 통해 꾸준히 정비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윤제형가옥은 유교적 관습에 따라 내외를 공간적으로 엄격하게 구분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사랑채는 밖에 담을 두지 않아 외부와 직접 통해 있다. 사랑채와 문간채가 붙어 있는 점이 특징이며, 사랑채를 높이기 위해 4벌대의 석축(石築) 기단 위에 지었기 때문에 대문으로 들어갈 때도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배치 구조는 충청남도 지역의 일반적인 튼 ‘ㅁ’ 자형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부분적으로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 아산 지역 전통가옥의 다양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