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달거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358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1년 5월 2일 - 서대석이 「달거리」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 「달거리」 『한국구비문학대계4-3』-충청남도 아산군편에 수록
채록지 외암리마을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지도보기
성격 민요|잡가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서 떠나간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달과 자연에 빗대어 서정적으로 부른 소리.

[개설]

「달거리」는 일반적으로 십이잡가류와 민요로 나뉜다. 충청남도 아산의 「달거리」는 사친가(思親歌)[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계열의 잡가로 4월부터 7월까지를 소리에 담았다.

[채록/수집 상황]

「달거리」는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이인용[남, 67세]으로부터 채록하였고, 1982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4-3』-충청남도 아산군편에 실려 있다.

[내용]

하사월 초파일날/ 남풍지~ 훈예하고/ 삼각산 제일봉에/ 봉학이 앉어 춤을 추고/

한강수 맑은 물에/ 하도~용마가 나든 말든/ 백공산상 저 무덤에/ 영웅호걸이 몇 몇인고/

올라갈라니 양안이로다/ 장안만호 등을 들어/ 산호만세 부를 적에/ 창창한 수풀 속에/ 객들이 젖었으니/

타기황앵 아희들아/ 막교지상에 한을 마라/ 꾀꼬리 탓이 아니로다/

황금 같은 저 꾀꼬리/ 세류영 넘어 들어/ 황금갑을 떨쳐입고/ 황우성 찾는 소래/

적은덧 단잠 다 깨운다/ 우억[아냐 이게 잘뭇되야, 암만해두_가창자의 말]

그달 그믐 다 보내구/ 오월이라 단오일은/ 송백수야 푸른 가지/ 높다랗게 그네 매고/

녹의홍상 미인들은/ 오락가락 노니는데/ 우리 벗님 어데 가고/ 단오 시절을 왜 모르노/

그달 한 달 허송하고/ 유월이라 유두일은/ 건곤이 유여하야/ 녹음방초 승화시는/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을 비고 누웠으니/ 대장부 살림살이/ 요만하며는 넉넉하지/

일촌간장 맺힌 설음/ 부모님 생각뿐이로다/

그달 한 달 허송하고/ 칠월이라 칠석날은/ 오작교로 다리 놓아/ 견우직녀 일 년 상봉하련마는/

우리 벗님 어데 가고/ 단오 시절을 왜 모르나/ 그달 한 달 허송하고/ 영수를 내려가니/

허유는 무삼일노/ 영천수에 귀를 씻노/ 이적선은 무삼일노/ 소고삐를 거사렸노/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현황]

2018년 기준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달거리」는 가창되지 않고 문헌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