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057 |
---|---|
한자 | 1872年地方地圖大興郡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조민희 |
[정의]
1872년에 제작된 『1872년 지방지도』 중 현재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신양면, 광시면, 응봉면 일대를 포함하는 대흥군의 지도.
[개설]
『1872년 지방지도』는 1872년에 제작된 필사본 회화식 지도책으로 국가의 주도로 제작된 전국 단위의 군현 지도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흥선대원군은 중앙 집권적 정치체제를 확립하고 서양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종 개혁 정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지방의 실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군현의 읍지와 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1871년(고종 8) 전국 군현의 읍지 편찬을 명하고, 이듬해인 1872년(고종 9)에는 모든 군현과 군사시설 등을 지도로 제작하여 올리라고 명령하여 그 결과 『1872년 지방지도』가 제작되었다.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제작되어 수합하였기 때문에 통일적이고, 체계적으로 그려지지는 못하였으나 이전의 지도들보다 큰 규격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지도에 들어 있는 각종 정보는 풍부한 편이다.
[형태]
『1872년 지방지도』는 회화식 채색 지도로 총 459매이다. 전국의 모든 고을과 군사 요충지 별로 한 장씩 그려져 있으며 각 지도의 규격은 가로 70~90㎝, 세로 1.0~1.2m 등으로 다양하다.
[구성/내용]
지금의 예산군 대흥면, 신양면, 광시면, 응봉면 일대의 지도이다. 고을의 건치연혁과 도리(道里), 각면 소속의 동리명(洞里名), 호구수(戶口數) 등이 주기된 것은 다른 군현과 동일한 양식이다. 동서남북의 글자로 방위를 표시하였으나 서쪽을 지도의 상단으로 잡아 배치하였다. 산지는 맥세를 강조하여 표현하였는데 흡사 머리털을 그린 것처럼 가는 선을 겹쳐 그렸다. 봉수산(鳳首山)에 있는 백제 때의 고적인 임존성(任存城)은 흰 성첩으로 강조되어 그려져 있다.
읍장(邑場), 광시장(光時場), 신양장(新陽場) 등은 대홍권(大紅圈),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점(店)들은 소홍권(小紅圈)을 사용하여 위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도로도 홍선으로 그려져 있는데 굵기를 달리하여 대로와 소로를 구분하였다. 또한 고려태실(高麗胎室), 현종대왕태실(顯宗大王胎室), 옹주태실(翁主胎室) 등을 태를 보관하였던 항아리의 모양으로 상징화하여 산의 정상에 그려 넣었는데 이것도 크기를 달리하여 위계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창고 건물, 사찰 건물 등을 유형적으로 표현하였는데 회화식을 가미하면서도 기호적 양식을 띠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관찬 지도 제작 사업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19세기 말 대흥군 내의 각종 행정, 제의, 군사 시설, 방면(坊面)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