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047 |
---|---|
한자 | 靑邱要覽禮山郡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조민희 |
[정의]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충청남도 예산군 해당 지역이 수록된 지도.
[개설]
『청구요람』은 김정호가 작성한 『청구도(靑邱圖)』를 1895년(고종 32)에 모사한 이본으로, 지금의 충청남도 예산군에 해당하는 덕산, 예산, 대흥 지역의 지도를 포함하고 있다. 김정호가 만든 『청구도』의 이본은 현재까지 9종이 알려져 있는데, 『청구요람(靑丘要覽)』도 그중 하나이다. 전국의 산, 강, 고개 등의 자연 지리적 사항과 각 군현의 호구, 전결, 군정 등의 행정 관련 사항 및 역원, 봉수, 사찰 등이 표시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청구요람』에는 김정호의 「청구도 범례(靑邱圖凡例)」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이 『청구도』의 것과 대부분 동일하여 최한기(崔漢綺) 가 소장하고 있던 『청구도』의 최종 원본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제작 시기는 김정호의 『청구도』를 고종 연간에 필사하여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청구요람』은 건(乾)·곤(坤) 2책이며 지도는 필사본 채색도이다. 남북으로 총 29층, 동서로는 22판으로 구분되어 있다. 건권에는 홀수 층이, 곤권에는 짝수 층이 수록되어 있고, 각 층판의 면은 남북 10리와 동서 70리의 동일한 크기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책의 크기는 세로 31.5㎝, 가로 21.5㎝이다.
[구성/내용]
전국적으로 산[봉우리만 표시]과 강 등 자연 지리 사항과 호구, 전결, 곡총(穀總), 군정(軍丁) 등의 행정, 경제 관련 사항 등이 표시되어 있다. 군현 읍치는 큰 사각형에 군현명이 들어가 있는 형태로 표시하였으며 신라, 백제, 고구려 또는 고려 시대의 명칭 변화를 병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사각형 아래 또는 우측에 읍격을 표시하였다. 그 외 진보(鎭堡)와 역(驛), 면(面), 창(倉), 목장(牧場), 봉수(烽燧) 등도 표기되어 있고, 도로는 붉은색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당시 군현 제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월경지(越境地)의 위치도 표시되어 있다. 지도식은 사방을 12개의 방위로 나누고, 10리 간격의 원을 그려 위치를 바로잡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본조팔도주현도총목(本朝八道州縣圖總目)」, 「신라구주군현총목(新羅九州郡縣總圖)」, 「고려오도양계주현총목(高麗五道兩界州縣總圖)」이 수록되어 있어 각 시대별로 본 지도에 대한 색인도 역할을 하였다.
예산의 경우 대흥, 덕산, 예산이 표기되어 있으며, 각각 당시의 호수와 전결, 전곡, 군정이 기록되어 있다. 예산은 호수 2,800호, 전결 4,300결, 전곡 3,700석, 군정은 3,000명이며, 덕산은 호수 5,500호, 전결 6,600결, 전곡 4,300석, 군정 2,900명, 대흥은 호수 3,300호, 전결 3,700결, 전곡 4,300석, 군정 3,100명이라고 되어 있다.
예산 지역에는 두촌면, 입암면, 오원면, 금평면, 덕흥면, 신종면, 술곡면, 대지면, 거구화면, 우가산면 등의 지명과 향천사가 표기되어 있다. 덕산 지역에는 현내면, 대조지면, 나박소면, 내야면, 고현내면, 현내면, 대덕산면, 도용면, 고산면, 장촌면, 거등면 등의 지명이 표기되어 있고, 가야산의 석문봉, 덕숭산의 수덕사, 팔봉산의 용봉사 등이 보인다. 대흥 지역에는 대북면, 외북면, 일남면, 이남면, 원동면, 거변면 등의 지명과 임존고성이 보인다. 역원으로 예산의 신례원, 덕산의 급천역, 대흥의 광시역이 표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전국적인 자연 지리 및 행정 등에 관련된 사항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