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호남지도』 「무주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238
한자 湖南地圖茂朱府
영어공식명칭 Honamjido Mujubu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호남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부 지도.

[형태 및 구성]

『호남지도(湖南地圖)』는 전라도 각 군을 그려 전체를 7첩으로 묶고 비변사인(備邊司印)을 찍은 채색 지도 필사본이다. 0.3~1.5㎝의 방안(方眼)에 그렸으나 방안의 크기가 지도별로 일정하지는 않다. 그중 「무주부」는 7첩 중 진안, 용담, 장수, 운봉, 임실, 곡성, 구례, 광양 등과 함께 제3첩에 속해 있다. 지도 1장의 크기는 22.6×36.7㎝이다.

『호남지도』 「무주부」 는 산줄기의 표현이 입체적이며 생동감이 있을 뿐 아니라, 향적산을 중심으로 모든 산줄기가 이어져 마치 무주 읍치를 호위하는 듯한 지세[형국]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지도의 여백[부기(附記)]에 자세한 지리 정보들을 알려주고 있다. 즉 민호(民戶)를 통한 인구수, 전답 결수, 군정 관련 군인들의 숫자와 군사 시설인 진보(鎭堡), 무주 적상산성과 관련된 성첩(城堞)의 자세한 내용, 명산인 향로산과 적상산을 비롯한 여러 고개들, 험난한 고개와 대천(大川) 등의 자연 환경, 농업과 관련된 제언(堤堰)들, 종교 경관인 서원과 사찰의 소개, 제사 경관인 향교, 사직단, 여단 등의 위치, 무주부와의 행정 경계인 거창, 금산, 장수, 옥천 등과의 거리, 그리고 교통수단과 관련된 역참인 소천역 등이 표기되어 있다. 이외에도 무주부 소속인 상곡면(裳谷面), 서면(西面), 신동면(新東面), 유가면(柳加面), 이안면(二安面), 일안면(一安面), 풍남면(豊南面), 풍동면(豊東面), 풍서면(豊西面), 횡천면(橫川面) 등과의 거리를 표기하고 있다.

[특징]

『호남지도』 「무주부」 는 18세기 초에서 중엽 사이[영조 연간]에 제작된 것으로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해동 지도(海東地圖)』「전라도 무주부」 및 후대의 『1872년 군현 지도』「무주부」와는 다른 점이 눈에 띈다. 다른 지도들과 달리 무주 읍치를 묘사하는 표현력이 무주 적상산성에 비해 규모가 크고 자세하다는 데 있다. 무주 읍치의 행정 경관 둘레를 사각형의 테두리로 강조하였으며, 제사 경관인 향교, 사단[사직단], 여단 등이 강조되었다. 또한 풍수지리적 관점이 지도를 그리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즉 읍치의 서쪽에 대규모의 숲을 그림으로써 풍수지리 용어를 사용하면 '비보숲[풍수지리적 관점에서 기가 부족한 곳을 보완해야 하는 곳에 숲을 만들어 주는 것]'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다른 지도에서 소홀히 다룬 경관들이 『호남지도』에서는 비교적 많은 빈도를 차지한다. 대표적으로 고개와 주막 및 저수지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의의와 평가]

『호남지도』 「무주부」 영조 때의 정확한 지리 정보가 수록된 고지도로, 풍수지리적 관점과 유교적 경관 배치 원리 등이 적용된 시각적 자료라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