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290 |
---|---|
한자 | 廣輿圖鐵原府 |
영어공식명칭 | Gwangyeodo Cheorwonb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나종현 |
[정의]
19세기 전반에 제작된 전국 군현지도집인 『광여도』에 수록된 철원 지역의 지도.
[개설]
『광여도(廣輿圖)』는 세계지도 및 전국 각 고을의 지도를 수록한 지도책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광여도』는 수록된 지명으로 보아 1800년(정조 24, 순조 1)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해동지도(海東地圖)』와 구성 및 내용 면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는데, 『해동지도』 같은 관찬(官撰) 군현지도집이 민간으로 퍼져 나가면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마테오 리치의 「산해여지전도(山海輿地全圖)」 계열의 지도가 「천하도(天下圖)」라는 명칭으로 수록된 점 등은 이전 시대의 지도집과 다른 부분이다.
[형태]
『광여도』는 전국 각 고을의 지도를 그려 수록한 회화식 지도이다. 크기는 세로 36.8㎝, 가로 28.6㎝이다.
[구성/내용]
『광여도』는 전체 7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책에는 「천하도」, 「중국도」, 「유구도」, 「일본도」, 「오계관방지도」, 「조선지도」, 「도성도」, 「경기도」가 수록되었다. 제2책은 호서도, 제3책은 호남도, 제4책은 관서도와 해서도, 제5책은 영우도(嶺右圖), 제6책은 영좌도(嶺左圖), 제7책은 관동도와 관북도이다. 세계지도에서 각국 지도를 거쳐 각 지방의 지도로 이어지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철원부」를 비롯한 강원도 지방의 지도는 제7책의 관동도에 수록되어 있다.
『광여도』 「철원부」의 상단 우측에 철원부(鐵原府)라는 지역명을 적었다. 중앙에서 약간 아래에 읍치를 배치하고 주변의 산과 하천을 그려 내었는데, 읍치 북쪽으로 펼쳐진 평야지대 등 철원 지방의 지형적 특징을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주변 군현과의 경계는 표시되어 있지만 교통로는 생략되었다. 동변면, 서변면, 송내면, 어운동면, 갈말면, 관인면, 고을파면, 무장면, 북면 등 관할 행정구역의 위치는 붉은 선과 노란 바탕의 사각형으로 표시하였다. 북쪽 평야지대에 있는 궁예의 도성인 궁왕고도(弓王古都), 읍치 서쪽의 고석정(孤石亭) 등 지역 내의 유적·시설·명승 등을 상세하게 표시하였다. 『해동지도』에서 철원부의 호구, 전결 등의 정보를 지도 주변에 기록하였던 것과 달리, 『광여도』 「철원부」에서는 각종 정보를 지도와 분리된 독립된 장에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광여도』는 19세기 전반 전국 군현의 지리 정보를 담은 지도로서, 『해동지도』로부터 이어지는 회화식 지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광여도』 「철원부」는 당시 철원 지역의 인문 지리 정보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