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아산문화대전 > 아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전승·언어·문학) > 구비전승 > 민요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특정한 작곡가나 작사가가 없이 민중들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나 구전으로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民謠)는 민속적인 요소와 음악적인 요소, 문학적인 요소가 스며들어 노래로 발현된 것으로 민중들의 사상과 정서, 삶의 애환, 사고방식과 풍속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 특히 민요는 삶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것이기에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서 농부들이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 「논매기 노래」는 1984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4-3』-충청남도 아산군 편에 실려 있다. 이는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송악면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선창에 양채원[남, 46], 후창에 방상운[남, 63] 외 여러 명으로부터 채록하였다...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서 떠나간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달과 자연에 빗대어 서정적으로 부른 소리. 「달거리」는 일반적으로 십이잡가류와 민요로 나뉜다. 충청남도 아산의 「달거리」는 사친가(思親歌)[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계열의 잡가로 4월부터 7월까지를 소리에 담았다. 「달거리」는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마...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을 비롯한 아산시 일원에서 목화를 따면서 부르는 남녀 애정 노동요. 「목화 따는 처녀 노래」는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목화를 따는 처녀와 주치[지치, 한방에서는 뿌리를 자초(紫草)라는 약재로 사용함]를 캐는 총각이 서로 연모의 마음을 주고받는 ‘남녀상열지사’에 해당하는 민요이다. 「목화 따는 처녀 노래」는 1983년 아산군지편...
-
충청남도 아산의 신창면 지역에서 부르던 유희요. 「백구타령」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4-3』-충청남도 아산군편에 수록되어 있으며, 1994년 온양문화원에서 간행한 『온양아산의 민속』과 1983년 아산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아산군지』 상권에는 「백구타령」이 같은 가사로 실려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린 「백구...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지역에서 배를 타면서 부르는 노동요.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지역의 「뱃노래」는 뱃놀이의 여흥을 살리기 위해 부르던 속요체의 민요로, 어업 노동요에 속한다. 「뱃노래」는 여럿이 그물을 끌어 올리며 박자를 맞추어 소리를 메기고 받는 집단 노동요이다. 「뱃노래」는 1983년 아산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아산군지』 상권과 1987...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을 비롯한 아산시 일원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여성 노동요. 충청남도 아산의 「베틀노래」는 「베틀타령」, 「베틀요」라고도 하며, 베틀을 짜는 과정을 내용으로 담기도 하고, 여성의 삶을 서사로 풀어내기도 한 것이 특징이다. 「베틀노래」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4-3』-충청남...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을 비롯한 아산 전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소리. 「상여소리」는 선후창 민요 가운데 하나로, 장례 절차 중에서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부르는 「상여소리」는 상여가 죽은 이의 집을 떠나면서 부르는 발인 또는 하직하는 소리, 상여를 들거나 내리며 부르는 소리, 장지까지 가며 부르는...
-
충청남도 아산과 예산 지역에서 부르는 노래. 「아산아리랑」은 나라를 찾기 위해 부모를 떠나는 심경과 항전의 의지, 광복을 그리는 희망을 노래에 담고 있다. 「아산아리랑」은 2015년 한국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민요학』 제43집에 수록되어 있다. 「아산아리랑」은 2018년 7월에 장미숙이 아산아리랑보존회장인 심재민을 만나 채록한 것이다....
-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전승되는 모내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이앙요(移秧謠)」는 충청남도 아산시 일대 농군들이 모내기할 때 줄을 맞춰 일률적으로 모를 내는 율동을 하며 노동의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자연스럽게 부르는 노래이다. 「이앙요」는 1983년 아산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아산군지』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당시 채록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
-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각설이패들이 부르던 타령. 「장타령」은 충청남도 아산의 각설이패가 동냥하며 부르는 「품바타령」과 같으며, 장사꾼들이 사람을 끌어 모으기 위해 부르는 소리로 타령조의 민요이다. 「장타령」은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송악면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양채원[남, 46세]으로부터 채록하여, 1982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을 비롯한 아산시 일원에서 산나물을 캐면서 부르던 노동요. 「지치 캐는 처녀」는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산나물과 약초를 캐면서 부르던 노동요로, 봄철에 여성들이 산과 들로 돌아다니며 임산물을 채취할 때 노동의 고달픔을 잊기 위해 부르던 것이 특징이다. 「지치 캐는 처녀」는 1981년 7월 14일에 서대석이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서 집을 짓기 전에 집터를 다지는 소리.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서는 집을 지을 때 가장 먼저 땅을 다지며 지신(地神)을 숭배하고 복을 빌었다. 「집터 다지기 노래」는 집터를 다지며, 인간과 지신과 땅이 하나 되는 신앙의 과정에서 부르던 노래이다. 「집터 다지기 노래」는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마...
-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여러 마을에서 불리는 남도 단가 중의 하나. 「초한가(楚漢歌)」는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짧은 노래이며, 내용은 중국 고사나 명승고적, 인생의 감회를 담고 있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불리는 「초한가」는 중국의 영웅호걸에 대한 소리이다. 「초한가」는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
-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화투놀이를 할 때 부르던 노래. 「화투풀이」는 충청남도 아산에서 화투놀이를 할 때 화투에 등장하는 열두 달 그림의 동물이나 꽃 등의 소재에 해학적인 가사를 붙여 흥겨움을 더하기 위해 부르는 소리이다. 「화투풀이」는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양채원[남, 46세]으로부터 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