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627
한자 牙山全允臧墓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출리 산8[삼태리 222-1]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김민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11월 11일연표보기 - 아산 전윤장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18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아산 전윤장묘 충청남도 기념물 재지정
현 소재지 아산 전윤장묘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출리 산8[삼태리 222-1]지도보기
성격
양식 방형분
관련 인물 전윤장
봉분 크기/묘역 면적 318㎝[전면]|379㎝[측면]|140㎝[높이]
관리자 천안전씨 도정공 종중회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출리에 있는 고려 후기 문신 전윤장의 묘.

[개설]

전윤장(全允臧)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천안(天安)이다. 전윤장은 1339년(충숙왕 복위 8) 역어낭장(譯語郎將)으로 중국 원(元)나라를 오갔으며, 충혜왕(忠惠王)[재위 1330~1332, 복위 1339~1344]이 원나라의 관리들에게 뇌물을 주어 복위하는 데 기여해 대호군(大護軍)이 되었다. 1342년 조적(曹頔)의 난 때 충혜왕을 호종(扈從)하여 2등 공신에 책봉되었다. 1343년에는 우상시(右常侍)로서 서해·평양순위사(西海平壤道巡慰使)에 임명되었다. 1347년에는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서 교주도도순문사(交州道都巡問使)에 임명되어 쌍성(雙省) 지역의 인구를 점검하였다. 1348년(충목왕 4)에는 첨의참리(僉議叅理), 이학도감판사(吏學都監判事)를 지내고, 1351년에는 공민왕을 호종하고 고려에 들어와 찬성사(贊成事)의 벼슬을 받았다.

[위치]

아산 전윤장묘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출리 산8번지에 있다. 세출리 마을회관 동쪽 직선거리 1.2㎞ 지점으로, 길을 따라가려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에서 접근하기가 쉽다. 세출리 마을회관에서 호서대학교 진입로 입구 등을 지나며 호서로를 2.2㎞ 간 지점, 삼태2리 마을회관 조금 앞 지점에서 왼쪽의 샛길로 접어들어 300여m 간 뒤 작은 삼거리에서 왼쪽 산 방향 길로 약 800m 더 가면 산길이 보인다. 산길을 200m 올라가면 아산 전윤장묘에 이르게 된다. 태학산에서 북동으로 흘러내린 구릉성 야산의 서쪽 사면 중턱이다. 산 너머 북동쪽에는 천안전씨의 시조단과 재실이 있다.

[형태]

아산 전윤장묘는 화강석을 다듬은 부정형의 장대석(長大石)을 2단으로 쌓아 호석으로 두른 방형분이며, 고려시대 귀족의 전형적인 분묘 형태를 보여 준다. 규모는 전면 318㎝, 측면 379㎝, 높이 140㎝이다. 봉분 앞 중앙에 나지막한 상석(床石)과 향로석(香爐石)이 설치되어 있는데, 고려 말 묘제(墓制)에서 상석, 특히 향로석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후대에 추가로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봉분 앞 양쪽에 문인석 한 쌍이 설치되어 있는데 오른쪽 문인석은 완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으며, 왼쪽의 문인석은 하단과 복두(幞頭) 등이 파손되었다. 이 문인석들은 복두, 공복(公服)을 착용하고 홀(笏)을 든 형태로 제작되었다. 얼굴은 장승처럼 소박하고 조형미가 떨어져서 지방 장인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홀을 마치 옷자락으로 잡은 듯한 형태나 수직으로 내려오는 소맷자락 등의 표현은 15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특징이어서 후대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황]

아산 전윤장묘는 2013년 11월 11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89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문화재 지정 즈음에 주변을 정비하여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아산 전윤장묘는 인근 충청남도 천안시 지역에 근거를 두었고, 아산 지역에도 많이 거주하고 있는 오랜 내력의 천안전씨 집안 고분이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오늘날 매우 보기 드문 고려 후기의 온전한 방형분이어서 고려시대 묘제와 묘지 석물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