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236
한자 壽宴禮
영어공식명칭 61st Birthday Feast
이칭/별칭 회갑(回甲),화갑(華甲),진갑(進甲),산제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효경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에서 회갑을 맞이한 이를 축하하여 후손들이 베푸는 큰 잔치이자 의식.

[개설]

인간의 나이를 세는 전통적인 방법은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地)이다. 간지를 결합하면 60개가 되므로 사람에게 주어진 나이를 60세로 여겼다. 61세 생일이 되면 간지가 새로 시작되므로 자신이 태어난 간지가 되돌아왔다 하여 회갑(回甲) 혹은 영화로운 생일이라 하여 화갑(華甲)이라 칭하고, 이를 특별히 기념했다. 회갑을 맞이할 부모가 있으면 자손들은 미리 자금을 모아 회갑 잔치를 벌인다. 과거에는 회갑까지 생존하는 이가 적어 회갑을 맞는 것이 매우 특별한 일이어서 큰 잔치로 기념한 것이다. 회갑은 살아서 받는 가장 큰 잔치이므로 제사상처럼 제물을 높이 고여 상을 차린다.

후손들은 회갑을 맞이한 이에게 고운 한복을 지어 드리고, 친척과 인척, 이웃 등을 초청해 잔치를 벌이고, 장수를 축하하며 절을 한다. 회갑 전에 죽으면 죽어서 맞이한 회갑이라 하여 ‘사갑(死甲)’이라 하고 의례를 베푼다. 이때 망자의 묘소에서 간단히 제사를 모시고, 옷을 마련해 태운다. 회갑자에게 삼재(三災)가 들었다면 부정하다 하여 변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대신한다. 이처럼 회갑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기념해야 하는 생일이다. 요즘은 수명이 늘어서 회갑 대신 칠순이나 팔순에 잔치를 베푸는 사례가 늘고 있다.

[내용]

회갑을 맞이하면 잔치를 벌여 만수무강(萬壽無疆)을 축하한다. 일반적으로 태어난 생일에 잔치를 벌이지만 여느 생일과 달리 회갑은 큰 잔치이므로 추운 겨울이 생일인 사람은 그날을 피해 그해 봄이나 가을로 날짜를 바꿔 치른다. 만약 잔치를 앞두고 회갑자가 몸이 아프면 그 잔치는 취소한다. 회갑을 치른 그 이듬해의 생일은 진갑(進甲)이라 하여 기념하지만, 별도로 잔치를 하지는 않는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 100세 시대에 접어들었다. 요즘은 회갑을 대신해 칠순 잔치나 팔순 잔치를 선호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회갑은 기념해야 하는 날로 인식된다. 회갑 잔치는 집에서 음식을 준비하지 않고, 식당을 빌려서 가족들이 함께 식사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다. 예전처럼 회갑자에게 큰 상을 마련해 주고 그 앞에서 자손들이 돌아가며 절을 하기도 한다.

예전에는 회갑을 맞이한 부모에게 새 옷을 지어 드렸다. 길쌈을 해서 옷을 짓던 시절, 며느리는 회갑을 맞은 시부모의 옷을 짓기 위해 여러 날 길쌈을 했으며, 이웃을 불러 함께 길쌈하기도 했다. 회갑자의 부부가 모두 생존하면 남편의 회갑을 축하하는 뜻에서 회갑자의 부인이 직접 옷을 짓는다.

회갑 잔치 전날 저녁에 회갑자의 집에서는 뒤란 터주께 시루떡을 마련해 올린다. 집안 식구가 회갑을 맞이하게 되었음을 터주께 고하는 것으로, 터주단지 앞에 짚을 열십자로 깔고 그 위에 시루를 놓고 시루 안에는 청수 한 그릇을 넣어 둔다. 이때 회갑을 맞은 사람이 직접 제물을 놓고 절도 한다. 간혹 회갑자의 운수가 나쁘다면 잔칫날에 변소에 먼저 떡을 놓는다. 평소에도 집 바깥에서 불길한 물건을 집 안으로 들일 때에는 해당 물건을 변소에 보관한다. 변소에서 나는 지독한 냄새가 불길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변소 제사는 액땜을 위한 제사이다.

회갑 잔치를 앞두고 마을에 초상이 나도 잔치는 그대로 진행한다. 회갑자 가족은 문상을 미룬다. 주민들은 문상 후에 회갑 잔치에 참여해도 무방하며, 상주도 회갑 잔치에 참여한다. 회갑을 맞이하면 미리 친인척과 주민들에게 잔치를 알린다. 회갑자의 동갑 친구들에게 연락해 참석하도록 한다. 회갑 잔치에 초대를 받으면 축하의 의미로 쌀·고기·술 등을 성의껏 마련해서 건넨다.

회갑 당일에는 아침 일찍 집 마당에 차일(遮日)을 치고 회갑상을 놓는다. 1970년대까지는 회갑을 맞는 경우가 매우 드물어서 회갑 잔치가 꽤 성대했다. 회갑상에 올리는 음식은 마치 제사상을 마련하듯이 높게 고인다. 음식 고임은 솜씨가 좋은 이가 맡아 해야 하므로 주민 중 적당한 사람에게 부탁한다. 음식을 높게 고이기 때문에 회갑을 ‘산[生] 제사’라 부른다. 음식은 골고루 마련해 올리지만, 제사상에 올리는 조기는 제물(祭物)이라 하여 회갑상에는 올리지 않는다. 회갑자의 부모가 생존해 있으면 회갑상을 차리기 전에 미리 부모님께 상을 마련해 올린다. 회갑을 맞은 장본인이 색동저고리를 입고, 부모 앞에서 어린아이처럼 재롱을 피우기도 하고, 부모님께 술을 따라 올리고 장수하길 기원한다.

회갑자 내외가 회갑상 앞에 앉으면 큰아들부터 막내까지 자손들이 나서서 부모님께 술을 올리고 건강하게 오래 사시기를 기원하는 덕담(德談)을 건넨다. 잔치 음식으로는 국수·김치·간장·전·수육 등을 푸짐하게 마련해서 참석한 손님에게 대접한다.

[민간의례]

회갑자에게 삼재가 들면 회갑 잔치를 하지 않고, 그 대신에 변소에서 제사를 지낸다. 비록 잔치는 베풀지는 못하지만, 음식을 넉넉히 마련해서 식구들끼리 나누어 먹는다. 준비한 음식은 조금씩이라도 모두 한 접시에 담아 변소 앞에 놓고 절을 한다. 그런 후 술과 떡을 변소 안에 던져 넣는다. 남은 음식은 먹지 않고 집 안으로도 들이지 않고 버리거나 땅에 묻는다. 이렇게라도 변소에서 제사를 지내야 삼재를 당한 회갑자에게 무탈하다고 한다.

[생활 민속적 의미]

회갑은 인간의 나이를 세는 갑자의 전환점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으로 중시되었다. 예전에는 회갑이 되면 육체는 노화되고, 사회생활도 대부분 마감했다. 후손들은 회갑을 맞은 이들을 축하하며 큰 잔치를 열었다. 수명이 늘어나 장수를 누리게 되면서 회갑이 큰 의미를 지니지는 못하게 되었지만, 전통적인 나이 관념인 회갑은 사회적 의례로 여전히 기능하고 있다. 사망한 이의 회갑은 사갑(死甲)이라 하여 변소에서 제사를 지냈다. 변소는 지독한 냄새가 나는 측간신이 있는 공간이므로 액운을 물리치기 위해 변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대체한 것이다.

[참고문헌]
  • 이필영 외, 「아산시의 가정신앙」(『한국인의 일생의례』-충청남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 이필영 외, 「민속」(『아산평택 택지개발 사업지구내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충청문화재연구원·대한주택공사, 2006)
  • 이필영 외, 「아산시의 일생의례」(『한국인의 일생의례』-충청남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