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0429
한자 成汝容墓
영어공식명칭 Tomb of Seong Yeoy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 산30-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581년연표보기 - 성여용 출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608년연표보기 - 성여용 사망
개축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성여용 묘 정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85년연표보기 - 성여용 묘표 건립
현 소재지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 산30-6 지도보기
성격 묘소
양식 원형 합장 쌍분
관련 인물 성오|성운한|성호열|성완|심의겸|낭선군 이우

[정의]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성여용의 묘.

[개설]

성여용(成汝容)[1581~1608]의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자수(子受)이다. 호조좌랑(戶曹佐郞) 성완(成玩)의 현손(玄孫)이다. 아버지는 상서원부직장(尙瑞院副直長) 성오(成澳)이고, 대사헌 심의겸(沈義謙)의 손자사위이다. 사대부로서의 고상한 덕행이 있었으나 28세의 나이로 일찍 죽어 아들 성운한(成雲翰)이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에 오르면서 대사헌에 추증(追贈)되었다.

[위치]

성여용 묘경기도 시흥시 미산동 산30-6번지에 있다. 창녕 성씨(昌寧成氏) 세장지(世葬地)의 우측 언덕에 있으며 아래로 아들 성운한과 손자로 현감을 지낸 성호열(成虎烈) 묘가 있다. 좌측 구릉에 성세장(成世章) 묘가 있고, 그 우측에 성완 묘와 재실(齋室) 인현재(仁峴齋)가 있다. 시흥시청에서 부천시 방향으로 국도39호선으로 가다가 시흥시 미산동 간댐마을을 지나 좌측으로 구수미1길로 들어서서 구시미마을 북측 산언저리에 있다.

[변천]

1990년 묘역을 정비하였다.

[형태]

묘역에는 옛 석물로 혼유석(魂遊石), 상석, 향로석, 운각(雲角)을 장식한 높이 1.46m의 망주석 한 쌍과 금관조복(金冠朝服)의 높이 1.4m의 문인석 한 쌍이 세워져 있다. 쌍분(雙墳) 가운데 장방형의 받침돌에 월두형(月頭形) 비신(碑身)을 갖춘 방부원수(方趺圓首) 양식의 높이 1.73m의 묘표(墓表)가 건립되어 있다. 비신을 받치고 있는 방부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복련(覆蓮)과 당초문(唐草紋)을 조각하였고, 높이 1.4m의 비신은 백(白)대리석이다.

[금석문]

비신 앞면에 '조선 증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 성공여용지묘 증정부인 청송 심씨 부좌(朝鮮贈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成公汝容之墓贈貞夫人靑松沈氏祔左)'라 쓰고 비석 뒷면에 음기(陰記)를 기록하였다. 표제를 '유명조선국 증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 성공묘표(有明朝鮮國 贈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成公墓表)'라고 하여 비석의 종류가 묘표인 것을 알 수 있다. 건립 연대는 '숭정기원 무진후 58년 을축[1685년] 십월 □일 립(崇禎紀元戊辰後五十八年乙丑十月□日立)'이다. 대제학 이단하(李端夏)가 짓고 손자사위로 선조의 열두번 째 왕자인 인흥군(仁興君) 이영(李瑛)의 아들인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가 썼다.

[의의와 평가]

성여용 묘는 조선시대 분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묘표의 내용을 쓴 낭선군 이우는 당대 유명한 서예가로 전서(篆書)와 예서(隷書)에 출중하여 여러 임금의 보책(寶冊) 등을 썼다. 또한 서법 이론서인 『임지설림(臨池說林)』과 금석문집인 『대동금석첩(大東金石帖)』을 편찬하였다. 성여용 묘표 음기의 마모가 심하지만 서예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