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617
한자 李鈺
영어공식명칭 Lee Ok
이칭/별칭 기상(其相),경금자(絅錦子),문무자(文無子),화석자(花石子),매화외사(梅花外史),매암(梅庵),매계자(梅계子),청화외사(靑華外史),도화유수관주인(桃花流水館主人),화서외사(花漵外史),석호주인(石湖主人),문양산인(汶陽散人)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태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60년연표보기 - 이옥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81년 - 이옥 남양 매화산 아래 정착
활동 시기/일시 1790년 - 이옥 생원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92년 - 이옥 응제문(應製文) 문체 문제로 지적됨
몰년 시기/일시 1815년연표보기 - 이옥 사망
성격 문인
성별
본관 전주

[정의]

조선 후기 경기도 화성 출신의 문인.

[가계]

본관은 미상이나, 전주(全州)라고도 전한다. 자는 기상(其相), 호는 경금자(絅錦子)·문무자(文無子)·화석자(花石子)·매화외사(梅花外史)·매암(梅庵)·매계자(梅계子)·청화외사(靑華外史)·도화유수관주인(桃花流水館主人)·화서외사(花漵外史)·석호주인(石湖主人)·문양산인(汶陽散人) 등 다양하였다. 부친은 진사 이상오(李常五)로, 효령대군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모친은 이원현감을 역임한 홍이석(洪以錫)의 딸인데, 홍이석은 평안도 병마절도사 홍시주의 서자이다. 형제는 4남 6녀로 형인 이영(李鍈)과 이박(李鏷)은 전취 소생이고, 이옥과 동생 이집(李鏶)은 재취 소생이었다. 이옥과 유득공은 이종사촌이다.

[활동 사항]

이옥(李鈺)[1760~1815]은 1760년(영조 36)에 태어났다. 본가는 경기도 남양군 매화동으로, 바닷가에는 집안의 어장이 있었고 밭으로 일구는 땅도 있었으며, 집안에는 수백 권의 장서가 있어 5~6세에 이미 글을 배우기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성균관 유생으로 있던 1792년(정조16) 응제문(應製文)에 소설식 문체를 구사하여 임금으로부터 ‘불경스럽고’, ‘괴이한 문체’를 고치라는 엄명을 받았다. 이 일로 이옥은 일과(日課)로 사륙문(四六文) 50수를 지어 올리는 벌을 받기도 하였다. 그 후로도 문체로 인하여 여러 번 과거 응시 자격을 박탈 당하고 충청도 정산현과 경상도 삼가현에 충군(充軍)에 처하여지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유배지에서 돌아온 뒤, 더 이상 과거 시험장에 출입하지 않고 경기도 화성 지역에 칩거하면서 글쓰기에 열중하며 여생을 마쳤다.

[학문과 저술]

이옥의 저술은 친구인 김려(金鑢)가 교정하여 『담정총서(潭庭叢書)』 안에 수록한 11권의 산문과 『예림잡패』에 시 창작론과 함께 남긴 이언(俚諺) 65수가 전한다. 『담정총서』 안의 산문은 각각의 제목을 가지고 있다. 「문무자문초(文無子文鈔)」·「매화외사(梅花外史)」·「화석자문초(花石子文鈔)」·「중흥유기(重興遊記)」·「도화유수관소고(桃花流水館小稿)」·「경금소부(絅錦小賦)」·「석호별고(石湖別稿)」·「매사첨언(梅史添言)」·「봉성문여(鳳城文餘)」·「묵토향초본(墨吐香草本)」·「경금부초(絅錦賦草)」 등이다. 이 중에서 전(傳) 23편을 비롯하여 문학사적인 의의를 지닌 글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가람본 『청구야담』에는 「동상기(東廂記)」를 지었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