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242
영어공식명칭 I Ppajin Ai Nollineun Sori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영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11년 -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 정진택, 박원, 조옥희에게서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편에 세 편 수록
채록지 정진택 자택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용화동길 36[신철원리 152-1]지도보기
채록지 박원 자택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호국로 6990[사곡리 705-4]지도보기
채록지 주홍집 자택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자등리 1779번지 지도보기
채록지 내대리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철원군 - 강원도 철원군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 구분 놀림 유희요|신체 놀림요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서 이 빠진 아이를 놀리며 부르는 유희요.

[개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전승되는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는 젖니가 빠진 아이의 잇몸 모양을 보면서 놀리는 유희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는 1996년에 문화방송에서 발행한 『한국민요대전-강원도편』에 한 편이 수록되어 있다. 2011년에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서 정진택에게,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에서 박원에게, 철원군 서면 자등리의 주홍집 집에서 조옥희에게 채록하였고, 2016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편에 세 편을 수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친구들 여럿이 이 빠진 아이를 놀리는 경우도 있으나 개인적으로 놀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는 독창으로 부른다.

[내용]

사람은 누구나가 젖니가 빠지고 간니가 새로 나는 이갈이를 경험한다. 이렇듯 젖니가 빠진 잇몸을 보면 우습기에 친구나 어른들은 노래를 부르며 아이를 놀린다. 철원 지역에서는 “앞니 빠진 ○○○”와 같은 형식으로 시작되는 노래가 전승되는데, 전국적으로 비슷한 형태이다.

먼저 갈말읍 내대리에서는 “앞니 빠진 노장구/ 삼 년 먹은 떡값 내라// 앞니 빠진 노장구/ 삼 년 먹은 떡값 내라// 앞니 빠진 노장구/ 삼 년 먹은 떡값 내라”와 같이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는 형태로 노랫말을 구성하였다. 갈말읍 신철원리에서는 “앞니 빠진 갈강 새/ 도랑 건너 뛰지 마라/ 붕어 새끼 놀래 뛴다”와 같이 불렀고, 근남면 사곡리에서는 “앞니 빠진 갈가지/ 어 우물 앞에 가지 마라/ 붕어 새끼 놀린다”와 같이 불렀다. 그리고 서면 자등리에서는 “앞니 빠진 갈강새/ 도랑 건너 가지 마라/ 붕어 새끼 놀래친다”와 같이 불렀다. 내대리에서 부른 소리는 두 줄 형식의 노래이고, 나머지 세 편의 노래는 세 줄 형식의 노래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이갈이를 할 때면 주위에서 놀리지만 건강하고 튼튼한 간니가 나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 따라서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는 조롱이나 비웃음의 의미를 담은 노래가 아니라 순수한 웃음을 유발하는 노래이다.

[현황]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갈말읍에서 두 편, 근남면에서 한 편, 서면에서 한 편이 정리되었다. 누구나가 이갈이를 겪는 까닭에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를 대부분 불렀고, 들었을 것이다.

[의의와 평가]

아이의 신체 변화를 보고 놀리는 소리는 여럿 있으나 「이 빠진 아이 놀리는 소리」는 전국적이고 편수도 상당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