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울하게 죽은 아이를 위해 세운 부군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156
한자 抑鬱-府君堂
영어공식명칭 A Bugundang Built for an Unjustly Dead Child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11년 3월 26일 - 「억울하게 죽은 아이를 위해 세운 부군당」 오경천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6년 - 「억울하게 죽은 아이를 위해 세운 부군당」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편에 수록
관련 지명 부군당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지도보기
채록지 문혜리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태봉로 994[문혜리 67]지도보기
성격 설화|전설|당 신화
주요 등장 인물 동자|정승|돌쇠
모티프 유형 원혼이 된 동자

[정의]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에 있던 부군당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억울하게 죽은 아이를 위해 세운 부군당」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논골에 있던 부군당에 얽힌 설화이다. 정승 대감에게 총애를 받던 동자가 시샘을 받아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뒤 집안에 우환이 자주 생기자, 정승 대감이 동자를 위하여 부군당을 세웠다는 내용이다.

[채록/수집 상황]

「억울하게 죽은 아이를 위해 세운 부군당」은 2011년 3월 26일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에서 오경천에게 채록하였다. 2016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논골에 부군당이 있었다. 부군당에 모셔 놓은 주신(主神)은 동자(童子)였다. 문혜리에 살던 정승 대감이 출타를 하였다가 집으로 돌아오는데, 한 동자가 대감을 졸졸 따라왔다. 대감이 “너는 어디에 사는데 나를 따라오느냐?”라고 물었다. 동자는 “저는 부모가 없습니다. 저를 거두어 주신다면 어떠한 심부름이라도 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대감이 보기에 동자가 똑똑한 것 같아서 심부름이라도 시켜야겠다며 집으로 데려왔다. 대감은 동자를 하인들이 거처하는 곳에서 같이 생활하게 하였다. 대감이 동자에게 이런저런 심부름을 시켜 보니 제법 잘하였다. 그래서 하루는 동자에게 “너, 서울에 있는 정동 대감 댁을 좀 다녀와라. 내가 서찰을 써 줄 테니 정동 대감에게 전하여 주고 오너라.”라고 하였다. 동자는 대감에게 서찰을 받아서 서울로 출발하였다.

그런데 아침에 출발한 동자가 해도 넘어가기 전에 벌써 다녀왔다며 집으로 들어왔다. 대감이 보기에 너무 일찍 와서 동자가 진짜로 갔다 왔는지, 아니면 가지 않고 거짓말을 하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동자가 못 미더운 대감은 동자에게 “너, 정동 대감 댁에 가서 답신을 받아 오너라.”라고 하며 다시 심부름을 시켰다. 다음 날 아침 일찍 출발한 동자가 이번에도 해가 지기 전에 집으로 돌아왔다. 대감이 동자에게 “정동 대감이 보낸 답신을 가지고 오너라.”라고 하였다. 이에 동자는 정동 대감으로부터 받은 답신을 대감에게 주었다. 대감이 보니 진짜로 정동 대감이 보낸 답신이었다. 아무리 생각하여도 너무 빨리 갔다 와서 동자에게 “너, 말을 타고 갔다 왔느냐?”라고 물었다. 그러자 동자가 “저는 축지법을 쓸 줄 압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 이후로 대감은 동자를 많이 아꼈다.

한편 대감의 집에는 돌쇠라 부르는 영감이 있었다. 돌쇠는 대감이 동자를 유달리 아끼는 것을 시샘하였다. 돌쇠는 동자의 겨드랑이에 분명히 날개가 달려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서울을 하루에 다녀온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았다. 그날 밤 모든 하인들이 잠자리에 들었을 때 돌쇠가 자고 있는 동자의 이불을 들추어 보았다. 그랬더니 돌쇠의 생각대로 동자의 겨드랑이 밑에 작은 날개가 달려 있었다. 돌쇠는 방 한쪽에 있던 화로에 담긴 인두로 동자의 날개를 지졌다. 그 후 동자는 시름시름 앓다가 죽고 말았다. 대감은 죽은 동자를 잘 묻어 주었다. 그런데 동자가 죽은 이후 대감 집에는 좋지 않은 일들이 계속 일어났다. 우환이 너무 자주 일어나자 대감은 용하다고 하는 무당을 찾아갔다. 무당은 억울하게 죽은 동자를 위하지 않으면 계속하여서 우환이 생길 것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대감은 부군당을 짓고 동자를 위하여 매년 제사를 지내 주게 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억울하게 죽은 아이를 위해 세운 부군당」은 ‘원혼이 된 동자’를 기본 모티프로 하고 있다. 부군당의 유래를 설명하는 당 신화라고 할 수 있다. 동자의 겨드랑이 아래 날개가 달려 있었다는 것은 전국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는 아기장수 설화의 편린(片鱗)이다. 한편 억울하게 죽은 동자의 넋을 위로하고, 제사를 지내 주는 것은 원혼의 치제(致祭)라는 우리나라 민속의 보편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