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835 |
---|---|
한자 | 農村振興廳國立食糧科學院鐵原出張所 |
영어공식명칭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Cheorwon Branch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2346[오덕리 287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대건 |
설립 시기/일시 | 1967년 09월 08일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 농촌진흥청 철원작물시험장으로 설립 |
---|---|
개칭 시기/일시 | 2004년 01월 29일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 농촌진흥청 철원작물시험장에서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철원출장소로 개칭 |
개칭 시기/일시 | 2008년 10월 08일 -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철원출장소에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로 명칭 변경 |
최초 설립지 | 농촌진흥청 철원작물시험장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 |
현 소재지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2346[오덕리 2873] |
성격 | 연구 기관 |
전화 | 033-455-2031 |
[정의]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에 있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소속 출장소.
[개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산하 연구 기관으로 중북부 지역에 적응할 수 있는 조생종 벼 품종 개발 및 재배 기술 확립과 통일 대비 북부지방 적응 벼 품종 개발 및 육성, 재배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설립 목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중북부 중간 지대 적응 벼 조생 품종 개발 및 재배 기술 체계 확립과 중북부 지역 적응 식량작물 품종을 개발하여 곡물자급률을 높이는 한편, 미래 한반도 식량의 안정적 공급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변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1967년 농촌진흥청 철원작물시험장으로 설치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후 2004년 1월 29일 농촌진흥청 철원작물시험장에서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철원출장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으로 개편되면서 2008년 10월 8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1982년 육성에 성공한 오대벼를 비롯하여 조생종으로 유명한 태봉벼, 태성벼 등 신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생육기간이 매우 짧으며 냉해에 강한 오대벼는 철원군과 농민들이 힘을 합해 ‘철원오대쌀’이라는 쌀 명품 브랜드로 탄생하였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오대벼를 중심으로 재배 품종의 다변화에 힘을 기울여 쌀 생산량의 안정적인 수급 조절과 철원 지역 벼 재배 농가의 소득 향상을 위한 새로운 벼 품종 개발에 힘쓰고 있다. 또한 중북부 지역에 알맞은 작부체계[작물의 종류별 재배 순서]를 개발하기 위해 철원과 연천 지역에서 논에 맥주보리, 사료용 귀리 등을 봄에 파종하여 재배하고 후작으로 6월에 조생종 벼를 재배하는 기술 확립을 위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특히 통일 이후 식량 수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1990년대 초부터 북한 지역 적응 벼 품종도 연구해 오고 있는데, 2007년에는 북한에 당장 보급할 수 있는 벼 품종인 ‘평원’을 개발하였다. ‘평원’은 저온에서 잘 자라는 북한 벼 ‘삼지연 4호’와 미질이 좋은 남한 벼 ‘진부 19호’를 교배하여 만들었다. 평원이라는 벼 이름은 ‘평화의 기원’에서 첫 글자와 끝 글자를 따서 지었다.
[현황]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2019년 현재 소장을 포함하여 4명[연구관 1명, 연구사 2명, 실무관 1명]이 근무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새로운 벼 품종 개발 및 재배 기술 확립으로 철원 지역 벼 재배 농가의 소득 향상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였으며,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에 적합한 벼 품종 개발에도 큰 성과를 거두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