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아산문화대전 > 아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민속) > 민속 > 민속놀이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한가위 명절을 기해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감사하기 위해 놀던 추석 명절 놀이. 거북이놀리기는 마을의 청소년들이 용왕님의 상징이자 신성한 동물로 숭배된 거북을 만들어 앞세우고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지신밟기를 하며 악귀를 쫓고 복을 부르기 위해 행하였던 놀이이다. 거북이놀리기 놀이는 거북이, 길열이[거북몰이꾼 또는 앞잡이], 놀이꾼...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서로 다른 두레패가 길 위에서 마주칠 때 상대방의 두레기를 빼앗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두레패는 마을의 공동 노동 조직으로 규율이 강했기 때문에 조직적으로 활동했고, 농사 기술을 비롯해 민요와 농악 등을 가르쳤으며, 자체적으로 상벌제를 운영하였다. 대개 모심기를 마치면 마을에서 두레를 조직하는데, 김매기 등의 공동 작업을 위해...
-
충청남도 아산시 배미마을 인근에서 마을 주민들의 든든한 결속과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시행하였던 세시풍속. 충청남도 아산 배미동 노적가리놀이는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공동 우물 주변에 세워 놓았던 노적가리를 2월 초하루 머슴날[머슴 생일날]에 쓰러뜨려 한 해 농사를 점쳐 보며 풍농을 기원했던 주민들의 잔치였다. 노적가리는 아산 등 충청도 지역에서는 ‘...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음력 정월대보름부터 2~3일간 줄을 당겨 승부를 겨루는 방식으로 행하던 민속놀이. 아산 줄다리기는 주민의 단결과 협동심을 배양하고 마을의 무사태평과 풍년을 기원하는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대표적 민속놀이로 예로부터 자리매김해 왔다. 아산 줄다리기는 암줄과 수줄의 연결이 특이하고, 경기 도중에 관람객들을 웃기려는 해학적 요소가...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집을 지을 때 하는 의례와 놀이. 지경(地硬)다지기는 집을 지을 때 장부꾼과 줄꾼이 가래질로 집터를 닦은 후에 단단하게 다지며 하는 민속놀이인데, 건물의 기둥이 놓이는 초석[주춧돌]을 중심으로 한다. 이를 지경놀이, 집터다지기라고 한다. 이때 사용하는 도구가 달구인데, 지경꾼들이 줄을 잡을 수 있도록 넓적한 큰 돌이나 통나무에 네 개에서...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여자아이나 젊은 처녀들이 비운의 상징인 ‘춘향 각시’를 불러 자신들에게 빙의시키며 놀던 놀이. 춘향이놀리기는 마을 아이들이 방에 모여 앉아 신을 부르고 신내림을 시도하는 일종의 주술적 놀이로 다른 지역의 ‘꼬대각시 놀리기’와 유사하며, 아산 지역에서는 ‘춘양이 놀이’로 불리기도 하였다. 춘향이놀리기는 주로 방 안에서 이루어졌으...
-
충청남도 아산시 일대에서 음력 3월 여자아이들이 각시풀 등 푸른 풀을 이용해 각시 인형을 만들어 노는 놀이. 풀각시 놀이는 연원이 아주 오래되었고,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인 유아 놀이의 형태로 목격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사(高麗史)』「오행지(五行志)」에 어린 아들이 패를 나누어 풀로 인형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오주연문장전산고(...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농악을 연주하며 풍년을 기원하며 춘 춤. 일제강점기에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정리한 『조선의 향토오락』에 따르면, 정월대보름에 노적가리[볏가릿대]를 세우고, 이월 초하룻날 이를 내리는 ‘노적가리놀이’ 혹은 놀이 도중 군중이 벌이는 춤을 ‘풍년춤’이라 언급했다. 이와 함께 지역에서는 두레 논매기 중에 풍물과 함께 어우러져 장단에 맞추어 풍년과 무...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남자아이들이 들과 산에서 버드나무 껍질을 벗겨 피리를 만들어서 불며 노는 놀이. 호드기는 버드나무 껍질로 만든 피리의 일종이다. 음력 3월 무렵인 봄철에는 모든 나무나 풀의 성장이 왕성해져 땅속에 있는 수분을 빨아올리는 힘이 세지므로 줄기와 껍질 사이 수분 통로가 윤택해진다. 호드기 불기는 물오른 버드나무[실버들]나 미루나무, 산오리나무 가지로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