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의례
-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 주민들이 삶의 고비가 되는 임신, 출산, 혼인, 회갑, 죽음 등의 순간에 베푸는 전통적인 의례. 사람이 태어나서 일생을 마칠 때까지 평생을 거쳐 삶의 중요한 고비가 되는 순간에 베푸는 의례를 평생의례라 한다. 평생의례는 혼인한 부부가 자손이 잉태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베푸는 아들 빌기로부터 출산 및 육아에 관한 출산의례(出産儀禮), 어린이가 사회적으...
-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에서 아이를 원하는 부부가 베푸는 아들 빌기 의례를 비롯해 임신, 아이의 출산까지의 기간에 베푸는 의례. 충청남도 아산시에서는 1960년대 이전까지는 집에서 주로 출산하였다가 산부인과 건립이 본격화하면서 병원 출산이 보편화되었다. 집에서 출산하던 시절에는 산실에 삼신밥 놓고, 탯줄을 자르고, 자른 태를 처리하고, 난산(難産)이면 특별한 의례...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아이를 출산한 후 아이의 건강과 미래를 위해 베푸는 의례. 충청남도 아산시 주민들은 아이를 낳은 후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아이의 미래가 복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육아에 힘쓴다. 아이를 낳으면 일정 기간 아이를 외부와 단절시켜 질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다. 대문 앞에 금줄을 쳐서 외부인의 접촉을 막아 병원균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혼인 적령기의 남녀가 혼인할 때 치르는 의례. 혼례는 성인 남녀의 성적 결합이며, 두 집안의 결합이다. 혼례는 두 사람과 두 집단을 사회적으로 연결하는 순차적 의례이다. 혼인을 논의하는 의혼(議婚), 신랑이 신붓집으로 혼례식을 하러 가는 초행(醮行), 신붓집에서 치르는 혼례식 이후 신랑과 신부는 첫날밤을 보낸다. 첫날밤을 보낸 후 신랑과 신...
-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에서 회갑을 맞이한 이를 축하하여 후손들이 베푸는 큰 잔치이자 의식. 인간의 나이를 세는 전통적인 방법은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地)이다. 간지를 결합하면 60개가 되므로 사람에게 주어진 나이를 60세로 여겼다. 61세 생일이 되면 간지가 새로 시작되므로 자신이 태어난 간지가 되돌아왔다 하여 회갑(回甲) 혹은 영화로운 생일이라 하여 화갑(華甲)이라...
-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에서 사람이 사망한 후 매장에서 탈상할 때까지 치르는 의식. 사람이 사망하면 그 시신을 의식에 따라 처리하고 그 영혼도 함께 위무(慰撫)한다. 죽음이 임박하면 안방으로 모시고, 죽음을 확인하고, 시신이 굳기 이전에 반듯하게 수시(收屍)를 하고, 망자를 데리러 오는 저승사자를 위해 사자상(使者喪)을 마련하고, 떠나가는 영혼이 머물기를 바라며 고복(顧復)...
-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에서 돌아가신 부모나 윗대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 의례. 사람이 사망하면 후손들이 조상을 기리기 위해 망자의 기일(忌日)을 비롯해 설이나 추석 등의 명절(名節)에 집안이나 묘소에서 제사를 지낸다. 조상을 위해 베푸는 제사는 각 가정과 문중이 단위가 된다. 설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절식으로 마련해 차례(茶禮)를 지낸다. 다른 제사와 달리 차례에는...
-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집안에 액을 막기 위해 정월 열나흗날 행하였던 여러 의례. 정월 열나흗날에는 한 해 동안 겪을 일을 미리 알아보기 위해 토정비결 보기, 오행점, 윷점, 허수아비 점치기 등을 하였고 액을 막기 위해 여러 주술 행위를 하였다. 정월 열나흗날 액막이는 1970년대 이후로 아산시 지역에서 보기 힘든 의례가 되었다. 『토정비결(土亭祕訣)』...
세시풍속
-
충청남도 아산시 주민들이 일 년을 단위로 절기, 명절 등 특별하게 기념하는 날에 반복적으로 베푸는 행사. 전통적으로 시간과 때를 파악하는 역법(曆法) 체계는 태양태음력(太陽太陰曆)으로, 태양의 변화를 15일 간격으로 하여 절기(節氣)를 설정하여 계절의 변화를 기준으로 생업인 농업의 절기로 삼는다. 태음력은 달의 형태 변화로 한 달을 단위로 하는 생활문화의 기준이 된다....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두 마을이 정초에 농기로 싸우는 놀이 중 예의를 표하며 세배를 올리던 행위. 기세배(旗歲拜)는 농기(農旗)싸움 놀이의 일부로, 전체 놀이는 길놀이, 기세배, 기돌림, 기싸움, 뒤풀이 순으로 진행된다. 기세배의 명칭이 확인되는 최초의 자료는 일제강점기 간행물 『신동아(新東亞)』「함열의 기쟁」 부분에 "함열(咸悅)의 정월 상원 풍...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다양한 의례와 놀이를 하며 지냈던 명절. 단오(端午)는 음력 5월 5일로, 수릿날, 천중절(天中節), 단양(端陽)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단오는 양기가 가득 찬 길일(吉日)이자 농경사회에서 파종을 마치고 모내기를 한 후 휴식기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다양한 의례와 놀이가 벌어졌다. 충청남도 아산시에서는 다음...
-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에서 정초에 박쥐를 잡아 날려 보내거나, 종이로 박쥐를 만들어 액을 막고 복을 비는 풍속. 박쥐날리기 풍속은 다른 지역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마을에서만 전해 내려오는 풍속이다. 주로 사대부집에서 박쥐날리기를 했다고 전한다. 정월 열나흗날에 민가에서는 일반 연을 날렸고, 양반들은 산 박쥐를 잡거나 종이로 만든 박쥐...
-
충청남도 아산시 일대에서 날씨·동물·나무 등을 보고 그해의 길흉화복이나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풍속.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을 가리키는 날이다. 다른 말로 삼질·삼새날·삼중날(三重日)·상사일(上巳日)·원사일(元巳日)이라고 한다. 양의 수가 겹치는 삼짇날은 풀이 돋고 꽃이 피어 봄기운이 완연하다. 충청남도 아산시 일대에서는 음력 3월 초사흗날인 삼짇날에 처음...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풍속으로 음력 10월에 집안 가신에게 지내는 제사. 상달고사는 음력 10월 길일을 정하여 대청의 성주, 부엌의 조왕, 안방의 삼신과 같은 가신(家神)에게 제사를 지내는 날로 무당을 불러 굿을 하기도 하지만 보통 유교식 제사를 지낸다. 10월 상달고사의 연원은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지위서동이전(三國志魏書東...
-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에서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마당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풍습. 솔개 쫓기는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로,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마을 안에서 행하였으나 후에 재앙을 방지하는 의례로 변하였다. 솔개 쫓기에 관한 기록을 보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창명축조(唱名逐鳥)’라 하여 관동의 산간 지방에서 여러 아이가 일제히 온갖 새의 이름을 부...
-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음력 이월 초하루에 행하던 세시풍속. 이월 초하루는 음력 이월 첫째 날을 가리키는 말이며, 중화절(中和節), 머슴날, 노비일, 아드렛날, 하리아드렛날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날은 임금이 중화척(中和尺)이라는 자를 신하에게 내려주어 농사를 장려하였다. 민간에서도 이월 초하루를 하나의 중요한 날로 인식하여 다양한 세시풍속을 행하였다. 이월은 경칩...
-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매년 음력 1월 14일과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풍속. 충청남도 아산시에서는 정월대보름에 부럼 깨물기, 귀밝이술 먹기, 더위팔기, 볏가릿대 세우기, 다리 밟기, 달맞이, 동제, 망우리 돌리기 등을 한다. 정월대보름 아침에 조상에게 올리는 차례로 사대부 집안에서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 그리고 24절기마다 제사를 지냈다. 차례상은...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음력 정초에 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풍물패들이 집집마다 돌면서 지신(地神)을 달래고 복을 빌어 주던 세시풍속이자 의례. 예로부터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 낮에 풍물을 울리며, 집집마다 돌면서 지신밟기를 했다. 지신밟기는 ‘걸립’ 혹은 ‘집돌이’라고도 불렸다. 지신밟기는 마당, 부엌, 장광 등 집안 곳곳의 장소에서 풍물을 치고 땅을 밟으면서...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음력 7월 7일과 음력 7월 15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칠월 칠석(七夕)은 은하수를 사이에 둔 견우성과 직녀성 두 별이 만나는 날이라고 한다. 전해 내려오는 설화에는 직녀와 견우가 오랜만에 만나 오작교에서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데, 이 때문에 칠석에는 비가 온다는 속설이 있다. 백중(百中)은 음력 7월 15일이며, 여러 번의 김매기가 끝난 첫 휴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