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천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391
한자 復泉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승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59년연표보기 - 강학년의 10대손 강태석이 『복천유고』 간행
소장처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명륜3가 53-21]
성격 시문집
저자 강학년(姜鶴年)
편자 강태석(姜泰錫)[강학년의 10대손]
간행자 강태석(姜泰錫)[강학년의 10대손]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0.2㎝[가로]|29.0㎝[세로]

[정의]

조선 후기 충청남도 아산의 문신이자 학자인 강학년의 문집.

[저자]

『복천유고(復泉遺稿)』를 지은 강학년(姜鶴年)[1585~1647]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구(子久), 호는 복천(復泉)·자운(紫雲)이다.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묘소가 있다.

[편찬/간행 경위]

『복천유고』는 1959년 강학년의 10대손 강태석(姜泰錫) 등이 편집 및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복천유고』는 2권 1책의 석인본(石印本)으로 각 면 10행 20자이며, 크기는 가로 20.2㎝, 세로 29.0㎝이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강태석의 지(識)와 구행서(具行書)의 발문이 있다.

[구성/내용]

『복천유고』는 권1은 시(詩)·부(賦)·소(疏)·서(書)·서(序)·기(記)·문(文)·묘지(墓誌)·잡저(雜著)이며, 권2는 부록으로 만사(挽詞)·제문(祭文)·비명(碑銘)·계(啓)·차(箚)·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강학년은 1607년부터 1642년까지 약 35년 동안 산수를 유람한 내용을 「산수일기(山水日記)」로 기록하고 있다. 친지 및 지인들과 함께 명산대천을 돌아보았는데, 여기서 거론되는 인물은 문휘원(文輝遠)·허옥여(許沃汝)·이자정(李子正)·이정양(李鼎陽)·김여옥(金汝玉)·이대규(李大奎)·채백창(蔡伯昌)·김상용(金尙容)·이원익(李元翼) 등이다. 1620년에는 장현광(張顯光)과 관련 있는 인동(仁同)의 오산서원(烏山書院)을 방문하고, 1627년에는 조광조(趙光祖)를 배향한 도봉서원(道峰書院), 이언적(李彦迪)을 배향한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을 찾아가기도 하였다.

저자의 소(疏)를 통해서는 원칙론에 입각한 그의 현실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사어겸진시사소(辭司御兼陳時事疏)」는 사어(司禦)를 사직하면서 군주의 역할과 책임을 진술한 것이다. 「척화소(斥和疏)」는 정묘호란 때에 화의(和議)를 주장하는 논의의 부당함을 논한 것이다. 「사지평겸사업소(辭持平兼司業疏)」는 호란 이후 국가의 현안을 해결할 방안을 주장한 것이며, 「사장령겸진덕소(辭掌令兼陳德疏)」는 왜곡된 정치 행태와 도덕적 정당성의 결여를 심각하게 문제 삼고 있다.

[의의와 평가]

『복천유고』를 지은 강학년은 당색을 넘어 남인뿐만 아니라 서인들과도 교유하며 학술적 기반을 닦은 선비이다. 『복천유고』에서 강학년의 교유 관계와 정치적 격변기에 원칙과 의리로 시대를 바라본 현실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