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앙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354
한자 移秧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3년 - 「이앙요」 『아산군지』 상권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8년 7월 - 장미숙이 음봉면 주민 최완숙으로부터 「이앙요」채록
성격 민요|노동요
토리 메나리토리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가창자/시연자 최완숙[84세]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전승되는 모내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개설]

「이앙요(移秧謠)」는 충청남도 아산시 일대 농군들이 모내기할 때 줄을 맞춰 일률적으로 모를 내는 율동을 하며 노동의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자연스럽게 부르는 노래이다.

[채록/수집 상황]

「이앙요」는 1983년 아산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아산군지』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당시 채록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 2018년 7월에 장미숙이 음봉면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최완숙[84세]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기록된 가사와 맞지 않는 부분이 다소 있다.

[구성 및 형식]

「이앙요」는 일정한 장단 없이 불규칙하며 한 사람이 메기면 여러 사람이 받는 선후창 형식으로 부른다. 아산 지방의 「이앙요」는 대체로 메나리토리로 불린다.

[내용]

(1)

드문 듬성 심어도/ 삼배출짜리루 심어 주게

(2)

어흠차 찍어내야/ 어흠차 찍어내야/ 장 잎이 훨훨 영화로다/

여기저기 찍어도/ 양석짜리만 찍어주게

(3)

저마다 벼슬을 하면/ 농부 될 자 뉘 있으며/

의사마다 병 고치면/ 북망산천 어디 있을꼬/

얼시구 좋네 절시구/ 아니 놀고서 무얼 할꼬

(4)

어흠차 찍어내야/ 오동추야 밝은 달을/

어흠차 찍어내야/ 점노진경 가는 구름/

온갖 원소 자랑이요/ 어흠차 찍어내야/

황산벌은 청천이요/ 일호충구는 백로주라/

어흠차 찍어내야/ 만경대 구름 속에/

학이 날아서 춤을 추는데/ 어흠차 찍어내야/

노정사 십리헌데/ 높고 낮은 저 무덤에/

영웅호걸이 몇이며/ 절대 가인이 누구누구

(5)

여기도 하나 저 저기도 또 하나/ 드문 듬성 심어도/

삼배출 짜리루만 꽂아 주게/ 어헐럴러 상사뒤야/

여기도 또 하나 저 저기도 또 하나/

녹양방초 저믄 날에/ 석양풍이 건 듯 불어/

호미 메고 입장구에/ 석양풍이 건 듯 불어

(6)

뒷동산 살구꽃은/ 가지가지 봄빛이다/

앞 못에 장포 잎은/ 층층에 움 돋는다

(7)

여봐라 농부야 말 들어라/ 일락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출동령에 달이 솟아/ 에~헤~이루 상사뒤야/

봄에 밭 갈아 씨 뿌린 후에/ 우순풍조가 제일이라 돋아왔네/

춘하추동 사시 순환은/ 우리 농부 위함이라

(8)

일찍 나가서 일하다가/ 황혼 달 띄고 돌아와서/

목욕을 하여 몸을 씻고/ 부모에 처자들 같이 앉아/

보리밥과 국이 맛이 있네/ 얼널널 상사뒤야

(9)

대감 조종은 오념 대감/ 농군의 조종은 이 녀석인데/

매일 장춘 술만 먹고/ 한다는 소리가 노래로다

(10)

하늘 땅의 조화로다/ 가진 곡식 다 지어서/

천하 만민 기르는 것/ 우리들의 일이로세/

어허 농사 일꾼들아/ 어허 농사 장하도다

(11)

넓은 세상 직업 중에/ 천지자연 동무 삼고/

힘 합하여 하는 일이/ 농사밖에 어디 있나/

어허 농사 일꾼들아/ 어허 농사 장하도다

(12)

비비람을 무릅쓰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어허 농사 일꾼들아/

땀 흘리기 일을 삼아/ 농사 발전시켜보세/ 어허 농사 일꾼들아

[현황]

현재는 모내기가 기계화되어 한 사람이 이앙을 해 「이앙요」는 부르지 않는다. 고령자에 의해 구전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직업적인 소리꾼에 의해서만 유지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의의와 평가]

「이앙요」는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노동요로, 일의 리듬을 유지하며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줄이고 신명을 돋우는 효과가 있다. 「이앙요」는 일정한 리듬으로 함께 노래해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