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307
한자 法師
영어공식명칭 Bup-sa|Shamans
이칭/별칭 경각,경쟁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효경

[정의]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경문을 배워 안택굿과 병굿 등을 행하던 무속인.

[개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활동하는 법사는 10여 명 정도이다. 예전에는 면 단위마다 법사가 여럿이었는데, 1960년대 이후로 안택이나 병굿 등을 시행하지 않아 그 수가 많이 줄었다. 특히 보살들이 점을 친 다음에 굿 시행 여부를 정하게 되므로 남자 법사와 기주(祈主)가 직접 만나기 어려워 법사의 종교적 활동이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

‘법사’라는 호칭은 불교에서 수행에 힘쓰고 항상 설법하여 세상의 모범이 되는 승려를 지칭하거나 승려 일반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아산 지역에서는 무속인 중 독경(讀經)을 위주로 하는 남자 무당인 경쟁이를 지칭했는데, 경쟁이가 천한 용어라 하여 이를 우대하는 용어로 ‘법사’를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법사’로 불리지 않고, 흔히 ‘경쟁이’라고 불렀다. 경쟁이는 경문(經文)을 외워 종교적 목적을 달성하는 종교인이라는 의미인데, 경문 이외에 종이를 오려서 경문의 의미를 담은 설경(說經)과 신령의 이름을 적은 위목(位目) 등을 추가해 굿을 한다.

아산 지역의 법사가 외우는 경문은 스승으로부터 배운 것으로 사대경문(四大經文)인 옥추경(玉樞經), 팔양경(八陽經), 기문경(奇問經), 옥갑경(玉匣經)과 축사경(逐邪經), 태일경(太一經) 등과 가택신 봉안경인 조왕경(竈王經), 당산경(堂山經), 삼신경(三神經), 성조경(成造經) 그리고 불경으로 천수경(千手經) 등이 있다. 법사가 앉아서 경문을 외우며 베푸는 굿을 ‘좌경(坐經)’이라 하며, 경문을 외운다는 뜻에서 ‘독경(讀經)’이라 부른다.

[연원 및 변천]

법사는 강신(降神)으로 무속인이 되지만, 굿에서 외우는 경문을 암송하는 학습으로 무속인이 된다. 법사가 되려는 사람은 스승 법사로부터 굿에 필요한 도구, 경문 등을 배우게 된다. 단순히 여러 종류의 경문을 외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외운 경문을 북과 고장(敲杖)에 맞추어 자유자재로 암송하고, 독경 의식을 하는 데 필요한 설경(說經) 제작, 굿을 의뢰한 사람의 사정에 맞추어 경문을 융통성 있게 할 줄 아는 경륜을 갖추어야 한다.

강신 후 법사가 되려면 내림굿을 받은 후에 법사가 갖추어야 하는 기량을 배운다. 이때 내림굿은 보살에게 받으며, 굿에 필요한 여러 기량도 보살에게 배운다. 큰 법사를 찾아가 앉은굿을 할 수 있는 기량을 배우기도 한다. 스승 법사의 굿 뒷바라지를 하며, 스승의 경문을 귀동냥으로 암송하거나 스승의 경문집을 필사해서 외운다.

[절차]

아산 지역에서 법사가 진행한 무속의례는 병굿안택이 주를 이루었다. 이들 굿은 모두 독경 형식으로 진행하며, 굿을 진행하기에 앞서 설경과 위목 등의 장엄구를 굿당에 설치한다. 법사가 외우는 경문은 스승으로부터 사사했는데, 스승에 따라 각기 다르다. 굿의 종류에 따라 축사경(逐邪經), 가신봉안경(家神奉安經), 축원문(祝願文) 등으로 구분되는데, 안택에는 가신봉안경이 주로 사용되지만, 안택과 더불어 신장을 잡아 귀신을 물리치는 병굿에는 가신봉안안경을 비롯해 축사경류의 경문이 필요하다. 사대경문인 옥추경(玉樞經), 천지팔양경(天地八陽經), 옥갑경(玉匣經), 기문경(奇門經)을 모두 외우는 것은 어려워 큰 법사가 아니면 모두 외우지 못했다.

[생활 민속적 의미]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법사는 독경을 하며 굿을 진행하는 무속 신앙 의례의 주관자로 그 위상이 높았는데, 사람들이 무속에 의존하지 않게 되면서 설 자리를 잃고 있다. 현재 법사는 무당[만신]과 공생관계를 유지하며 앉은굿을 시행하고 있지만, 독경을 배우려는 이들이 드물어 그 명맥이 위태롭다.

[참고문헌]
  • 이필영 외, 「아산시의 가정신앙」(『한국인의 가정신앙』-충남편, 2006)
  • 장주군, 「무속」(『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청남도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5)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