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신밟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257
한자 地神-
영어공식명칭 Ritual for the God of the Earth in Asan
이칭/별칭 걸립,집돌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놀이/놀이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곽규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재개 시기/일시 2001년 6월 - 지신밟기 재현 행사 실시
의례 장소 내이랑 달맞이 축제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신봉리 내이랑마을 지도보기
의례 장소 두레패의 지신밟기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백석포리 지도보기
성격 민속놀이
의례 시기/일시 음력 정초

[정의]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음력 정초에 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풍물패들이 집집마다 돌면서 지신(地神)을 달래고 복을 빌어 주던 세시풍속이자 의례.

[연원 및 변천]

예로부터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 낮에 풍물을 울리며, 집집마다 돌면서 지신밟기를 했다. 지신밟기는 ‘걸립’ 혹은 ‘집돌이’라고도 불렸다. 지신밟기는 마당, 부엌, 장광 등 집안 곳곳의 장소에서 풍물을 치고 땅을 밟으면서 잡귀를 쫓고, 고사덕담을 하며 가정의 평안과 복을 빌어 주는 풍속으로, 대개 정초부터 보름까지, 또는 이월 초하루까지 진행되었다. 아산 일대에서는 비교적 근래까지 지신밟기 풍습이 이어지고 있다. 『아산시지』에 따르면, 영인면 백석포리 두레패의 지신밟기는 사물놀이패, 소고, 잡색[큰 중, 작은 중, 포수, 여장 남자 등]이 함께하는 풍물패의 구성이 다채롭고 사물놀이 실력이 걸출해 과거 전국농악경연대회에서 1등을 차지한 바 있다.

[절차]

지신밟기를 하는 풍물패를 두레패 혹은 걸립패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지신밟기를 하면서 각 가정에서 쌀과 돈을 추렴[걸립]했고, 이렇게 마련한 재물은 산신제나 장승제 등 마을의 공동 제사나 풍물 구입, 대동샘 보수 등 마을의 공동 경비로 활용되었다. 풍물패들은 대개 평상복을 했지만, 마을에 따라 고깔, 상모, 저고리 등 그 복장을 달리하였다. 치배[풍물놀이에서, 타악기를 치는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의 구성은 악기를 연주하고 상모를 돌리거나 춤을 추는 앞치배, 농기(農旗)와 영기(令旗) 등을 들거나 잡색을 맡은 뒷치배로 구성되었다. 이때 뒷치배들은 배역을 맡아 움직이는 잡색 외에도 사람의 숫자가 정해진 것이 아니고 항상 유동적이었다. 이는 마을 주민들이 집돌이를 하는 풍물패를 쫓아다니며 춤을 추고 어울렸기 때문으로 집돌이의 재미를 더해 주었다.

한편 지신밟기는 대개 마을의 대동샘에서 시작해 집집마다 돌아다녔으며, 대동샘에서 우물덕담을 하며 풍물을 친 후, 각 가정에 찾아가 문굿-마당굿-조왕굿-터주굿-대청굿 등의 순서로 지신밟기를 하였다. 풍물패의 대청굿과 고사덕담이 끝나면 집주인은 술과 안주를 대접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지신밟기는 각 가정의 풍농(豐農)과 안택(安宅)을 기원하던 행사이다.

[현황]

지신밟기는 현재는 시행되지 않고 있으나, 2001년 6월부터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내이랑마을에서 시행되는 ‘내이랑 달맞이 축제’에서 지신밟기가 재현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