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1178 |
---|---|
한자 | 敎育部國立特殊敎育院 |
영어공식명칭 |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NISE]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공원로 40[장재리 174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현우 |
설립 시기/일시 | 1994년 5월16일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설립 인가 |
---|---|
설립 시기/일시 | 1994년 7월 20일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개원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12월 21일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장애인교육복지정보지원센터 설치 승인 |
이전 시기/일시 | 2010년 11월 1일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신청사 개청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3년 4월 17일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국내 세미나 개최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3년 10월 30일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국제 세미나 개최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11월 28일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시안 개발 |
최초 설립지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 1740 |
현 소재지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공원로 40[장재리 1740] |
성격 | 특수 교육기관 |
설립자 | 교육부 |
전화 | 041-537-1500 |
홈페이지 |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http://www.nise.go.kr) |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있는 교육부 소속 특수 교육 기관.
[개설]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은 장애 학생의 생애 단계별 지원을 통해 교육의 희망을 살리는 특수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설립 목적]
소외 계층에 대한 복지 수혜를 확대시킴으로써 명실상부한 복지국가를 구현하려는 국가의 시책과 더불어 교육계의 소수 집단인 장애 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육의 효율화로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을 체계적으로 보장해 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을 발전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정책 개발, 교육과정 개발, 교원의 연수, 특수교육 정보화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변천]
1994년 5월 16일 정부로부터 국립특수교육원 설립 인가[대통령령 제14264호]를 받고, 1994년 7월 20일 국립특수교육원을 개원하였다. 1997년 7월 18일 원격 교육방송을 개시하였으며, 1998년 4월 30일 장애인교육복지정보센터를 설치하였다. 2004년 2월 26일 원격교육연수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고, 2007년 12월 21일 장애인교육복지정보지원센터의 설치가 승인되었다. 2008년 8월 28일 신청사의 신축 기공식을 가졌으며, 2010년 11월 1일 신청사 개청식을 하였다. 2013년 4월 국내 세미나 개최와 10월 국제 세미나를 순차적으로 개최하였다. 2015년 8월 7일 에콰도르 교육부와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으며, 2016년 4월 12일 충청남도교육청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특수교육 연구 사업,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 사업, 연수 사업, 인권 고등교육 지원 사업, 진로 직업교육 사업, 정보 지원 사업,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사업 등의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발간물로는 각종 연구 개발 보고서와 특수교육 연구, 특수교육 통계, 현장 특수교육 등과 관련된 자료집 등이 있다.
[현황]
2019년 3월 기준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의 조직 현황은 원장실 산하에 총무과, 행정지원팀, 기획연구과, 교육과정교과서팀, 진로직업교육팀, 인권고등교육지원팀, 연수과, 원격교육연수원, 정보지원과,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가 있다. 인적 구성은 원장 외 장학관·교육연구관 2명, 교육연구사 27명, 교사 6명, 일반직 8명, 기능직 9명 기타 26명 등 총 77명이 근무하고 있다. 기획연구과에서는 정책 연구,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학술 및 홍보 영역으로 나누어 사업이 추진된다.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중장기 계획 연구, 장애인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성과 지표 개발, 장애인 평생교육 현황 조사 연구, 장애 유형별 평생교육 온라인 콘텐츠 개발, 장애 유형별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교구 개발,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표준화 지원 연구,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보조기기 개발 기초 연구 및 평생교육과정 개발, 발달장애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장애인 평생교육 정보 시스템 구축,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및 시설 지원 장애인 평생교육 유관 기관 세미나 및 협의회 운영 등의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