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722 |
---|---|
한자 | 李鼎運 |
영어공식명칭 | Lee Jeongun |
이칭/별칭 | 공저(共著),오사(五沙)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병기 |
출생 시기/일시 | 1743년 - 이정운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769년 - 이정운 한림소시에 뽑혀 예문관검열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780년 - 이정운 강이정과 함께 도당록 6인에 선정 |
활동 시기/일시 | 1781년 - 이정운 홍충도 암행어사에 임명, 각종 폐단 조사 후 상주 |
활동 시기/일시 | 1784년 - 이정운 진하 겸 사은사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옴 |
활동 시기/일시 | 1787년 - 이정운 승지 역임, 좌승지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795년 - 이정운 충청도관찰사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796년 - 이정운 충청도관찰사 재직 시 외암 이간의 손자 이건주 천거 |
활동 시기/일시 | 1801년 - 이정운 형조판서에 임명 |
몰년 시기/일시 | 1801년 - 이정운 사망 |
출생지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
성격 | 문관 |
성별 | 남 |
본관 | 연안 |
대표 관직|경력 | 홍충도 암행어사|형조판서 |
[정의]
조선 후기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출신의 문신.
[개설]
이정운(李鼎運)[1743~1801]은 아산 신창 출신으로 1781년(정조 5) 홍충도(洪忠道)[충청도] 암행어사가 되어 홍충도의 실정을 적나라하게 적발하였으며, 글을 잘 써서 명성이 높았다.
[가계]
이정운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저(共著), 호는 오사(五沙)이다. 이제상(李濟相)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이춘정(李春挺)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 이징대(李徵大)이며, 어머니는 이발형(李發馨)의 딸이다. 동생은 승지(承旨) 이익운(李益運)이다.
[활동 사항]
이정운은 1769년(영조 45)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후보자가 치르던 특별 시험 한림소시(翰林召試)에 뽑혀 검열이 되면서 벼슬길에 올랐다. 이어 정언(正言), 지평(持平) 등을 두루 역임하면서 치열한 상소를 통하여 파직과 복직을 반복하였다. 1780년(정조 4) 홍문관 교리(校理)와 수찬(修撰)을 선임하기 위한 도당록(都堂錄)[홍문관의 교리, 수찬 등을 임명하기 위한 2차 선거 기록]을 시행할 때 강이정(姜彛正) 등과 함께 6인에 뽑힐 정도로 문장에도 뛰어났다. 이듬해 홍충도 암행어사가 되어 토호들의 폐단, 조운(漕運)과 조창(漕倉)에 대한 폐단, 군정의 폐단에 대해 정밀하게 조사하여 정조에게 상주하였다. 이후 수찬, 부교리를 거쳐 교리가 되었다.
1784년(정조 8) 12월 진하 겸 사은사(進賀兼謝恩使)로 정사(正使) 박명원(朴明源), 부사(副使) 윤승렬(尹承烈)과 함께 서장관(書狀官)으로 참여하여 청나라를 다녀왔다. 1787년(정조 11) 승지를 거쳐 좌승지가 되었고, 사간원대사간을 역임하였다가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이 되었다. 1795년(정조 19) 충청도관찰사에 이어 함경도관찰사가 되었다. 1796년(정조 20) 충청도관찰사로 있을 때 외암(巍巖) 이간(李柬)의 손자인 이건주(李建胄)를 학행(學行)으로 천거하였다. 1801년(순조 1) 형조판서가 되었다가 12월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동생 이익운과 『경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상훈과 추모]
사후에 정민(貞敏)의 시호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