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698
한자 趙相禹
영어공식명칭 Jo Sangwoo
이칭/별칭 하경(夏卿),시암(時庵),조학성(趙學聖)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교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2년연표보기 - 조상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조상우 향시 수석 입격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조상우 이괄의 난으로 피신한 인조를 찾아 적을 물리칠 방도를 올림
활동 시기/일시 1625년 - 조상우 원종추숭론 반대
활동 시기/일시 1634년 - 조상우 안방준, 박지계, 조익, 조극선 등과 함께 정퇴서원 건립
활동 시기/일시 1650년 - 조상우 제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음
몰년 시기/일시 1657년연표보기 - 조상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65년연표보기 - 조상우 효자 정려가 내려짐
추모 시기/일시 1670년연표보기 - 조상우 정퇴서원에 배향, 이조참판에 추증
추모 시기/일시 1845년 - 조상우 시문집 『시암집』 간행
출생지 온양 매곡촌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수철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조상우 묘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사당|배향지 정퇴서원지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본관 양주

[정의]

조선 중·후기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학문을 이끈 대표적인 성리학자.

[개설]

조상우(趙相禹)[1582~1657]는 일생을 온양에 살면서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났다. 정퇴서원(靜退書院)을 세워 아산 지역의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가계]

조상우의 본관은 양주(楊洲), 자는 하경(夏卿), 호는 시암(時庵), 초명은 학성(學聖)이다. 온양 매곡촌(梅谷村)[현재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수철리]에서 출생하였다. 할아버지는 부사정(副司正) 조눌(趙訥)이고, 아버지는 부사과(副司果) 처옹(處翁) 조지유(趙之柔)이다. 어머니는 평산한씨(平山韓氏)로 첨지(僉知) 한적(韓積)의 딸이고, 부인은 진주강씨(晉州姜氏)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죽창(竹窓) 강주(姜籒)의 딸이다. 슬하에 조이후(趙爾後), 조이중(趙爾重), 조이숙(趙爾䎘), 조이소(趙爾昭), 조이한(趙爾翰), 조이병(趙爾炳)의 여섯 아들과 두 딸을 두었다. 양주조씨(楊州趙氏) 장령공파(掌令公派)는 조상우의 후손이다.

[활동 사항]

조상우는 10여 세부터 정자(正字)를 지낸 홍신민(洪信民)에게 배웠고, 김장생(金長生)·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 되었다. 충청남도 아산시 장존동에 석우정(石友亭)을 짓고 박지계(朴知誡), 조익(趙翼), 송준길(宋浚吉), 김집(金集), 황종해(黃宗海) 등과 교류하였다. 예학에 정통하고 의리에 밝았으며 『주역』을 애독하였다.

1605년(선조 38) 향시(鄕試)에 수석 입격(入格)하였지만, 부친의 병을 돌보기 위해 과거시험을 포기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으로 피신한 인조를 찾아 적을 물리칠 방도는 ‘어진 정치를 베푸는 것(行仁政)’이라 하였다. 이듬해 1625년(인조 3) 상소를 올려 인조의 생부를 원종(元宗)으로 추숭(追崇)하는 것에 반대했으며, 정묘호란 때에는 후금과의 강화(講和)를 반대하는 척화(斥和) 상소를 올렸다.

1634년(인조 12) 안방준(安邦俊), 박지계, 조익, 조극선(趙克善) 등과 함께 현재의 아산시 배방읍 설화산 기슭에 정퇴서원(靜退書院)을 세우고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와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배향하는 일을 주도하였다. ‘정퇴서원’이란 명칭은 정암과 퇴계에서 따온 것이다. 지역 유림 대표로 조상우가 지은 서원 창건통유문(創建通諭文)과 상량문이 전해진다. 정퇴서원은 아산 지역 유학의 중심이었으며, 이를 계기로 많은 과거시험 급제자가 나왔다. 1650년(효종 1) 제릉참봉(齊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학문과 저술]

1845년(헌종 11) 6대손 조상규(趙橡圭)·조한규(趙韓圭)가 펴낸 7권 3책의 『시암집(時庵集)』이 있는데, 권두에 송래희(宋來熙)의 서문과 권말에 조한규의 발문이 있다.

[묘소]

조상우의 묘소는 아산시 온천동 산18번지에 있었으나, 2004년 주거지 개발로 효자 정려(旌閭)와 함께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으로 옮겨졌다.

[상훈과 추모]

과거시험을 포기할 정도의 지극정성으로 부모를 섬겼으며, 부모상을 당해 3년을 여막(廬幕)에서 모셨다. 1665년(현종 6) 온양에 온 현종에게 생원 이문영(李文榮)이 조상우의 효행을 알리는 상소를 올려 아들 조이숙과 함께 효자 정려가 내려졌다. 1670년(현종11) 정퇴서원에 배향되고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정려는 다른 곳으로 옮겨졌지만 장존동에 표석과 함께 ‘정문거리’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