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332
영어공식명칭 Reeve’s Turtle
이칭/별칭 남성이,거북이,꺼백이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종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5년 3월 17일연표보기 - 남생이 천연기념물 제45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남생이 천연기념물 재지정
지역 출현 장소 남생이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도고저수지지도보기|송악면 송악저수지지도보기|영인면 성내리 안골저수지지도보기
성격 파충류
학명 Mauremys Reevesii
생물학적 분류 파충강〉거북이목〉남생잇과〉남생이속
서식지 강|냇가의 습지 주변 웅덩이|늪지대
몸길이 20~30㎝
새끼(알) 낳는 시기 6~8월
문화재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에 서식하는 남생잇과에 속하는 민물 거북.

[개설]

남생이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도고저수지, 송악면 송악저수지, 영인면 성내리 안골저수지에 주로 서식하는 민물 거북이다.

[형태]

남생이는 크기가 약 20~30㎝ 정도이다. 등딱지는 약간 붉은빛을 띤 진한 밤색인데 딱지 하나씩 육각형이고 딱지 사이는 약간 노란색을 띤 줄로 그어져 있다. 등은 비교적 평평하고 완만하게 솟아 있다. 아래 배딱지는 등딱지와 크기가 거의 같고, 전체적으로 검은색인데 줄무늬로 임금 왕(王) 자로 볼 수 있는 선이 새겨져 있다. 눈에서부터 목까지 노란 줄무늬가 양쪽으로 있는데 얼굴 양쪽에는 노란 얼룩무늬가 새겨져 있다. 눈은 동그랗고 앞에 콧구멍이 두 개 있으며, 입은 뭉툭하고 이빨은 없다. 발은 앞발 두 개와 뒷발 두 개 모두 네 개인데, 넓은 비늘로 덮여 있고 발끝에는 발가락이 다섯 개씩 있다.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발가락 끝까지 연결되어 있다. 꼬리는 짧고 가늘며 끝이 뾰족하다. 목은 길지 않으며 노란색을 띤 줄무늬가 머리 쪽으로부터 이어져 있고 비늘은 없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남생이는 아산에서는 ‘거북이’, ‘꺼백이’로 부르며 자라와 구별하였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추석 때가 되면 마을에서 거북놀이를 많이 했는데, 일제강점기 때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경기도 이천과 충청남도 천안 등지에서 거북놀이에 대해 조사·기록한 내용 중에 "거북놀이는 추석에 농민들이 행하는 놀이로서, 먼저 대나무로 거북 모양을 만든다. 거북을 뒤집어쓴 사람을 선두로 해서 농악대가 뒤를 따라 마을의 각 집 문 앞에 찾아가서 여러 가지 재미있는 놀이를 하고 그 집의 복을 빌어준다. 이에 답해서 거북을 맞이한 집에서는 술과 음식을 내어 베푼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아산에서의 거북놀이는 여러 곳에서 행해졌는데, 특히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 지역에서 행했던 거북놀이의 기록이 아산문화원에서 발행한 『탕정거북이놀이』에 나와 있다. 거북놀이는 추석이나 정월대보름 저녁에 수수깡 잎이나 헝겊으로 거북이[남생이] 모양을 꾸미고, 한 사람은 이를 뒤집어쓰고 거북이 행세를 하고, 한 사람은 그 목에 끈을 묶어 끌고 다니는 질라래비, 그리고 풍물패로 놀이패를 구성하여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질라래비가 "천 석 거북이요, 만석 거북이요" 하고 소리치고 문을 열면 들어가 풍물을 치며 복을 빌어주고, 주인집에서 쌀이나 술, 음식을 내오면 거북이에게 한 숟가락을 주는 시늉을 하면서 "천 석이요, 만 석이요" 하면서 덕담과 함께 풍물을 치며 만복을 빌어주면서 춤을 추며 놀다가 다음 집으로 간다. 이때의 거북이는 주변 웅덩이나 냇가에 흔히 있었던 남생이를 일컬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남생이는 그 배에 새겨진 임금 왕 자의 무늬로 인하여 자라에 비하여 영물로 여겨 함부로 먹지 않았고, 어쩌다가 그물에 걸리거나 잡게 되면 잘 두었다가 다시 웅덩이나 냇가에 풀어주었다. 옛날에는 남생이가 매우 많아 인근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에서는 "연호 방죽에 남생이가 줄지어 서 있는 듯하다"고 사람들이 많이 모였을 때를 빗대어 표현하는 말도 있었다.

[생태 및 사육법]

남생이는 강이나 냇가의 습지 주변 웅덩이, 늪지대에 살며 낮에는 돌 밑이나 진흙 속에 있다가 아침이나 해 질 때쯤에 돌아다니며 개구리, 물고기, 수서곤충, 물풀, 심지어는 죽은 물고기도 먹는다. 남생이는 가을에 짝짓기를 하고 다음 해의 초여름에 물가 가까이에 있는 모래톱이나 부드러운 땅속에 뒷발로 항아리 모양으로 깊이 파고 10여 개 내외의 알을 낳는다. 알을 낳고 나면 흙으로 덮는데, 적절한 온도에서는 두 달쯤 후에 새끼가 알껍데기를 뚫고 나온다. 갓 태어난 새끼는 즉시 물가로 내려가 물속에서 생활하면서 성장하는데 처음에는 등딱지가 부드럽지만 자라면서 딱딱해진다.

날씨가 추워지면 진흙을 파고 들어가서 겨울잠을 잔다. 남생이는 머리끝에 뾰족 솟아 있는 콧구멍을 통해서 허파로 숨을 쉬기 때문에 물속에 오래 있지 못하고 이따금 물 위로 올라와 코만 내놓고 숨을 쉰다. 최근에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남생이의 생태 복원을 위해 연구한 결과 남생이의 인공 부화에 성공하여 아산에서 서식지 복원과 관리사업을 체계적으로 시도하면서 다시 자연 상태의 남생이를 볼 수 있게 되었다.

[현황]

남생이는 충청남도 아산 지역 곳곳에서 서식했는데, 특히 아산시 곡교천의 신정교 아래쪽 오목천의 늪지대에 많이 살고 있었고, 도고면선장면으로 이어지는 도고천, 음봉면 동천리 아래쪽 냇가와 웅덩이 늪지대에서도 흔히 볼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아산 지역에서 거의 볼 수 없는 상태이다. 남생이가 살던 늪지대와 하천에서 일부 종교 단체에서 외국산 붉은귀거북[일명 청거북이]을 대규모로 수입하여 방생함으로써 서식지가 겹쳐 경쟁에서 밀려났거나, 농약의 사용과 과도한 농지의 수로 정비로 서식처가 파괴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남생이는 2005년 3월 17일 천연기념물 제45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최근에 아산시 송악면송악저수지궁평리 쪽 늪지대에서 보았다는 주민의 증언과 송악저수지 수문 아래쪽에서 잡아 기르다가 풀어주었다는 주민의 증언이 있다.

[참고문헌]
  • 이주용, 『세밀화로 그린 양서파충류도감』(보리출판사, 2007)
  • 인터뷰(충청남도 송악면 궁평리 이장 김봉덕, 남, 58세, 2018. 9. 24.)
  • 인터뷰(충청남도 송악면 삼거리 주민 김천용, 남, 78세, 2018. 9. 24.)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